문재인 대통령은 17일 남북 정상회담과 관련해 불교계에 "화쟁(和諍)의 정신이 한반도에 실현돼 갈등과 분열이 해소되도록 간절한 원력으로 기도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인터컨티넨탈 서울파르나스호텔에서 열린 '제18회 한반도 안정과 평화를 기원하는 법회'에 참석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는 지금 우리 앞에 놓인 가장 시급한 과제이고 반드시 평화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라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담을 준비하면서 우리 불교의 소중한 유산인 '화쟁'을 깊이 생각해 봤다"며 "서로간의 차이와 다름을 넘어 서로 존중하고 이해하며 화합을 이루는 것이 화쟁사상이라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안의 화쟁도 중요하다. 국민의 공감과 지지가 있어야만 남북관계를 풀어갈 수 있다"며 "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데 우리 사부대중이 앞장서 주기 바란다"고 요청했다.
또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서 북미 정상회담도 예정돼 있다"며 "새로운 국제질서를 만들어낼 수 있는 세계사의 대전환이 시작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부처님의 가르침 속에서 지속가능한 평화의 지혜를 찾는다"며 "남과 북 사이의 담을 허물고 상생과 공존의 길을 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산가족이 상봉하고 소식을 주고받고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어야 한다.
사회·경제·문화적 교류가 이어져야 한다"며 "우리 불교계가 바라는 묘향산 보현사, 금강산 신계사, 개성 영통사 관련 사업 등 종교적 교류도 큰 힘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가 세계에서 마지막 남은 냉전구도를 해체해 전세계 평화의 주역이 되길 간절히 기원한다"며 "한반도에 다사로운 봄이 왔다.
진정한 평화와 화합이 이뤄지도록 계속 함께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와 함께 문 대통령은 "한국 불교는 군부독재 시절 국가권력에 의해 종교의 성역을 침탈당하는 가슴 아픈 일을 겪었다.
38년 전 신군부가 전국의 사찰을 짓밟고 무고한 스님들을 연행했던 10·27법난이 그것"이라며 "불교계에 여전히 남아있는 깊은 상처에 대해 이 자리를 빌려 심심한 유감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처님은 한 사람이 청정하면 여러 사람이 청정해지고 여러 사람이 청정해지면 온 세상이 맑아진다고 하셨다"며 "그런 원력으로 불교가 한국 사회를 정의롭게 이끄는 힘이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