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월 한 태권도 선수의 아버지가 편파판정에 항의하며 목숨을 끊은지 1년여만에 조직적인 승부조작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전국체전 고등부 서울시 대표 선발전에서 일어난 일로 5대 1로 이기고 있었는데 경기 종료 50초를 남기고 심판으로부터 내리 7번의 경고를 받아 아들이 패하자 분을 참지 못하고 억울함을 호소하며 세상을 등진 사건의 진상이 이제야 명명백백히 확인된 것이다.
이 사건을 수사한 경찰청 특수수사과는 경기에서 서울시 태권도협회 전무가 연루된 조직적인 승부 조작이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경찰은 승부조작을 주도한 협회 전무 김모씨에 대해 업무방해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하고 심판 최모씨 등 6명을 같은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
자신의 아들이 대학에 갈 수 있게 입상 실적을 만들어달라는 태권도학과 교수가 중학교 태권도 감독에게 청탁하면서 시작된 승부조작은 결국 다른 아버지의 목숨까지 끊게 하는 결과로 이어지고 말았다.
더 문제는 태권도계에서 승부조작 지시가 만연하다는 얘기까지 나온다는 점이다. 즉 이번 일 말고도 승부조작이 더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일을 계기로 태권도에서 승부조작을 발본색원하는 보다 근본적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태권도는 단순한 스포츠나 무예가 아니라 한국의 전통을 나타내는 대표 상품이다. 전 세계 204개국에 보급돼 한류를 이끌고 있고, 한국이 종주국이 돼 올림픽 종목으로 발전시켜 놓은 우리의 자랑거리다. 이런 태권도가 우리 내부에서는 스포츠의 기본정신조차 외면해버린 채 승부조작으로 곪아터진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은 참담하고 한심하기 짝이 없다.
그동안 프로 농구와 축구, 야구, 배구에서 씨름에 이르기까지 승부조작 문제는 심심치 않게 터져왔다.
일이 터질 때마다 승부조작 근절을 외치지만 말뿐인 현실이 안타깝다.
승부조작은 어린 선수들의 꿈을 빼앗고 결과적으로 해당 종목의 경쟁력을 약화시킨다는 점에서 반드시 추방해야 할 대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