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총장 강성모)는 의과학대학원 신의철 교수팀이 C형 간염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투해도 체내에서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원인을 규명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바이러스가 체내에 침투하면 면역반응이 일어나 이를 제거하게 되는데 C형 간염은 A형, B형 간염과 달리 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더라도 면역 반응이 일어나지 않았다.
이로 인해 C형 간염 바이러스 치료제는 개발됐지만 예방 백신 개발에는 어려움을 겪어왔다.
연구팀은 C형 간염 바이러스가 감염된 세포를 찾아내는 T세포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제1형 주조직복합의 단백질 발현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인터페론이라는 단백질이 생성돼 제1형 주조직복합체 발현을 촉진시키고 이를 T세포가 인식해 바이러스에 감염되 세포를 찾게 되는데 C형 간염 바이러스가 제1형 주조직복합체의 발현을 억제해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와 함께 실제 C형간염바이러스 환자로부터 분리한 T세포 배양 기술을 이를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KAIST 신의철 교수는“C형 간염은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원인을 알 수 없어 백신 개발에 어려움을 겪는 등 감염원 노출을 피하는 것만이 최선의 예방법으로 알려져 왔다”며 “이번 연구 결과로 백신 개발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