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에 참전해 형제애를 나눈 터키에서 지난 13일(현지시간) 역대 최악의 탄광 참사로 기록될 소마 탄광 폭발 사고가 발생했다.
터키 정부는 구조작업 시작 1주일도 안 된 지난 17일 오후 마니사주(州) 소마 탄광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구조대가 갱에 남은 마지막 희생자로 추정되는 광부 2명의 시신을 수습해 구조작업이 끝났다고 밝히고 이번 사고로 희생된 사망자는 301명, 부상자 122명이며 사고 직후 탈출한 사람이 363명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그러나 현지 주민과 노동조합은 아직도 갱 안에 100명 정도가 갇혀 있다고 주장하며 정부가 이번 탄광 폭발 사고의 희생자 규모를 축소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특히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총리가 사고 현장을 방문해 이런 사고는 늘 일어난다고 말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국민의 분노가 반정부 시위로 번지고 있다.
우리도 1달여 전 발생한 세월호 참사를 겪었고 아직도 사고 수습이 끝나지 않았지만, 터키처럼 촛불집회로 정부에 항의하고 있어 이 터키 탄광 폭발사고가 사실 남의 일 같지 않다.
터키 탄광 폭발 사고는 비슷한 인명피해 규모, 골든타임을 허비한 구조 당국의 부적절한 대처, 정부 관계자들의 막말 파문, 사고 2주 전 야당이 제출한 소마 탄광의 안전조사 요구안을 거부한 집권 여당, 이로 인해 격해진 국민의 분노 등 여러 면에서 인재(人災)를 넘어선 관재(官災)라는 비난의 목소리가 쏟아지는 세월호 참사와 참 많이 닮았다.
터키가 경제성장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추진한 민영화와 규제 완화가 이번 탄광 폭발 사고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어 세월호 참사 전 우리 정부의 선박 안전 규제 완화를 상기시켰다.
우연히도 터키는 오는 8월 대통령선거를, 우리는 다음 달에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다. 피뿐 아니라 1달 상간으로 관재까지 나눈 형제의 나라들에서 각 정부가 어떤 결과를 거둘지는 두고 봐야겠지만, 선거 결과는 참사에 대한 성적표로 받아들여질 것이다.
그러나 진정한 성적표는 선거 결과가 아닌, 이 같은 인재가 재발하느냐, 정부가 이번 관재를 교훈으로 삼아 재난 재발을 막을 확실한 방안을 만들 수 있느냐가 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