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에 기초한 과학적 행정 시스템 구축을 표방하며 올해 초 ‘빅데이터담당관’을 신설했던 경북도가 본격적인 행정혁신에 나섰다.
경북도는 13일 대구경북연구원에서 ‘2020 농촌살리기 정책토론회’를 개최하고 ‘지역단위 통계를 바탕으로 한 과학적 행정시스템 기반 구축’이라는 주제로 ‘농업경영체 데이터베이스’의 효율적 활용과 생활권 단위지표 개발방안 등에 대한 논의를 가졌다.
읍·면단위 생활권을 대상으로 공공서비스기준을 설정하면 이를 기초로 합리적인 정책우선순위 결정이 가능하고, 농업경영체 DB를 활용하면 농가 유형별 맞춤형 지원 및 체계적인 사후관리가 가능하다.
이날 토론회는 이동필 경북도 농촌살리기 정책자문관을 비롯, 농업·농촌분야 통계 전문가 등 20여명이 참여해 실효성 있는 농촌정책을 발굴·추진을 위한 지역통계 활용방안에 대한 토론도 펼쳤다.
먼저, 이정우 경북도 빅데이터담당관은 도정 중요 데이터 및 핵심 지표를 선정해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도청내 공유 및 타 기관과의 연동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경북 데이터 생태계’를 조성할 것을 제시했다.
이어진 발표에서 성주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삶의질 정책연구센터장은 읍·면단위 삶의 질 지표 개발 및 활용 방안을, 이태호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교수가 농업경영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농가별 맞춤 지원 방안을 제시해 참석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또, 종합 토론에서 박경아 농·식품문화정보원 총괄본부장은 농업경영체 자료를 귀농·귀촌자 맞춤형 교육, 농산물 유통관리, 보조금 사후관리 등 여러 부분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하면서, 사용자의 관점에서 공공데이터의 효율적 활용방안을 강구해 새로운 가치창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을 제안했으며, 김태균 경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교수는 농업 전반에서 빅데이터 개념이 상당부분 도입되고 있는 지금, 농업행정 역시 단순 통계의 차원을 넘어 의미있는 데이터의 생산을 위한 기반 준비를 서둘러야한다고 덧붙였다. 이종팔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