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2일 "다음번 금통위때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11월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 직후 열린 간담회에서 "지난 8월 금리인상을 하면서 통화정책의 정도를 점진적으로 조정하겠다고 했다"고 전하며 "이번에 금리를 동결했지만 여러가지 대내외 여건 변화가 금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경기회복 흐름이 우리의 예상을 벗어나는지 짚어볼 것이고, 경기회복 흐름이 우리의 예상대로 흘러간다면 다음번 금통위 때 금리 인상을 고려할 수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임기 내 추가 인상에 대해서는 "기준금리 조정은 경제, 금융 등 모든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결정하는 것이지 총재의 임기와 결부 시킬수는 없다"면서도 "물가 흐름세가 예상보다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으로 앞으로 통화정책은 이런 경제 상황의 개선 정도에 맞춰서 완화 정도는 적절히 조절해나가는 방향으로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또 "8월 기준금리 인상 이후에도 실질 기준금리 등 금융 여건은 여전히 완화적 수준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8월 기준금리 인상을 긴축 기조로의 전환으로 볼 것이 아니라 완화 정도를 소폭 조정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맞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기준 금리 인상 후 시장금리나 여수신금리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고, 경제주체들의 차입 비용이 증대되면 과도한 수익 추구 행위, 특히 차입에 의한 수익 추구 성향은 완화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며 "그간 금융불균형이 지속적으로 상당폭 누적돼 와 한 차례 금리인상만으로 정책효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나기는 어렵다고 보고 금융분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건전성 정책이나 주택 관련 정책이 일관되게 추진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또 지난 8월 전망한 올해 소비자물가 전망치 2.1%를 넘어설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그는 "국제유가가 지난달 예상 수준을 넘어 최근 배럴달 80달러 수준으로 높아졌고, 수급 불균형이 지속되면서 에너지,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장기화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며 "만약 유가를 비롯해 에너지 가격이 더 지속되거나 높아진다면 유가가 국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워낙 크기 때문에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8월 전망 수치를 상회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은 금통위는 이날 기준금리를 연 0.75%로 동결했다.
아울러 금통위는 이날 발표한 통화정책방향문에서 "코로나19 관련 불확실성이 이어지고 있으나 국내 경제가 양호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물가가 당분간 2%를 상회하는 오름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므로 앞으로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