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포항, 아파트 시장 또 ‘빙하기’ 오나..
경북

포항, 아파트 시장 또 ‘빙하기’ 오나

김재원 기자 jwkim2916@naver.com 입력 2022/03/07 18:35 수정 2022.03.07 18:35
미분양관리지역 악몽 ‘재연’ 우려 불안감
2020년 7월 해제… 2년도 안돼

전국적으로 아파트 미분양 상황이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포항지역도 미분양 규모가 급증하고 있어 미분양관리지역으로 또 다시 지정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경북도는 "미분양 주택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불안정한 주택시장을 안정화하기 위해 시・군과 공동으로 미분양 방지 및 해소 대책 마련에 나선다."고 지난 3일 밝혔다.
올해 1월말 기준, 경북도내 미분양 아파트는 총 5천227세대이다. 지난해 11월 1천598세대에서 12월 4천386세대로 2배 가량 급증했다.
특히, 전체 미분양 물량 5천227세대 중 포항이 2천943세대로 절반이 넘는 56%에 달한다.
미분양의 주된 원인은 지속적인 공급과 대출규제, 금리인상, 조정대상지역 지정 등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포항의 경우 다수 아파트 건설공사로 공사장에서 나오는 사토를 처리하지 못해 임야나 농토 등에도 불법으로 버려 사회적 문제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경북도는 포항시와 함께 사전에 미분양 증가를 방지하고 부동산 경기침체를 해소하기 위해 지난해 6월부터 국토교통부 담당부서를 방문하는 등 4차례 조정대상지역 해제를 적극 건의해 왔다.
하지만 지금까지도 조정대상지역(포항 남구, 경산)은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경북도는 지역 주택시장 안정화를 꾀하기 위해 시・군과 긴밀히 협조해 자체적으로 주택 공급 물량을 조절해 나갈 예정이다.
또 중앙부처와 관계기관에 조정대상지역 해제, 매입임대 활용 등도 지속해서 건의할 계획이다.
한편, 경북도는 4일 시군과 영상회의를 열고 시군 공동주택 담당과장들과 함께 미분양 방지 및 해소 대책 마련을 위해 논의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경북도 차원의 주택시장 안정화 정책 추진에 한계가 있지만,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대책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포항지역은 지난 2016년부 2020년 6월말까지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지정돼 아파트 시장이 침체기를 겪었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