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이철우, 울진 산불 현장지원단 본격 가동..
경북

이철우, 울진 산불 현장지원단 본격 가동

일간경북신문 기자 gbnews8181@naver.com 입력 2022/03/09 17:59 수정 2022.03.09 18:00
6개 반 구성…모든 방안 동원
피해복구 완료까지 비상근무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8일 열린 정례 간부회의에서 “울진 산불 피해를 조기에 수습하고 주민들이 빠른 시간 내에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현장중심 산불피해 복구 지원체계’로 전환하는 동시에 산불피해복구가 완전히 이루어질 때까지 비상근무체계를 유지하라”고 지시했다.
또한 “조기산불진화에 최선을 다함과 동시에 이재민 주거지원과 농림축산업에 대한 지원 대책 등을 담당부서별로 만들고 경북도 차원의 종합지원 프로그램도 준비하라”고 지시하고, 특히“현재까지 이재민이 530세대 발생했는데 앞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피해주민들이 불편 없이 생활할 수 있는 임시거처를 마련하는데 행정력을 집중하라”며, “산불진화 이후 이재민들이 빠른 시간 내에 생업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주민들이 원하는 곳에 임시주택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농림축산업에 대한 지원은 산불로 인해 발생한 과수, 송이 등의 피해액은 조사가 최우선이다. 농기계 등 필요한 장비의 손실도 많을 것이기 때문에 농업기술원 등과 협의해 농번기 농기계 임대 등 산불로 1년 농사를 망치는 일이 없도록 지원하라”고 지시했다. 한편, 경북도는 8일 울진군민체육센터에 마련된 이재민 대피소의 주민들 중 일부는 덕구온천리조트(콘도)로 임시거처를 옮겨 생활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준비를 마쳤다.
이날 회의에서 안동 산불의 경우도 그러했듯이 피해 입은 산림을 어떻게 조림하고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고민도 있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피해산림에 대한 조림계획에는 산불확산을 막을 수 있는 방안을 포함해야 하며 산림을 가꾸기 까지 상당기간 소요되는 점을 감안해 새로운 활용방안도 고민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일단, 경북도는 현장지원단을 꾸려 울진 산불현장으로 파견한다는 방침이며, 국장급을 현장지원단장으로 피해 복구를 위해서 ▲민관합동 피해조사 ▲이재민 종합지원 ▲농림축산지원 ▲정신건강지원 ▲구호성금총괄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더불어 도청 내 범실국 피해지원의 총괄기획조정 역할을 수행한다는 방침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경북도 차원에서 울진에 대한 특별대책을 마련하고 주민들 곁에 항상 도청이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해야 한다”며, “재난상황은 전쟁 상황과 같기 때문에 현장지원반 중심으로 범 실국 대응체계를 갖춰 위기를 조기에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 지사는 울진산불로 인한 2차적인 영농피해로 지역농업인들이 더 큰 고통을 받지 않도록 신속한 농업피해 복구를 위해 현장지원단을 즉각 운영할 것을 지시했다.
이에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과 농업기술원장을 공동단장으로 한 현장지원단이 9일부터 울진군청과 울진군 농업기술센터에 마련됐다.
현장지원단은 피해조사, 복구계획수립, 농기계수리, 영농재개지원 등 피해복구 전 분야에서 지원을 펼칠 방침이다. 현장지원단은 총 6개 반으로 농축산유통국에서는 피해조사·복구지원반, 경영지원반, 축산지원반, 유통지원반을 운영하고, 농업기술원에서는 농기계지원반, 영농기술지원반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이종팔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