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닥터헬기, 2년동안 '726회 임무 수행'
하늘을 나는 응급실인 경북닥터헬기가 출범 2주년 동안 모두 726회 출동해 임무를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안동병원에 따르면 닥터헬기는 중증응급환자의 사망률을 줄이기위해 2013년 7월4일 출범했다.
닥터헬기는 2013년 7월9일 첫 환자 이송을 시작으로, 지난해 12월19일까지 500회 출동을 기록하는 등 출범 2년만에 726회의 임무를 수행했다.
닥터헬기는 2년 동안 모두 939회 요청을 받아 726회 출동했으며, 임무중단 58회, 출동기각 213회를 기록했다.
임무중단 및 출동기각은 기상요인이 60%로 가장 많았으며, 의학적요인(경증환자), 중복요청, 물리적요인(착륙인계점 상황 등)이 주요원인으로 분석됐다.
안동병원 항공의료팀이 헬기이송환자 670명을 분류한 결과, 중증외상환자가 241명(36%)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뇌질환 157명(23.4%), 심장질환 80명(11.9%), 호흡곤란, 임산부 등 기타 응급환자가 192명(28.7%)을 차지했다.
응급현장까지 헬기도착시간은 평균 16분29초 소요됐다.
예천, 의성, 영주지역이 11~12분으로 짧았으며, 청송, 영양, 봉화지역이 13~15분, 문경, 상주가 16~18분, 울진은 평균 24분49초가 소요된 것으로 조사됐다.
안동병원 김병철 항공의료팀장은 "닥터헬기운항으로 고속도로, 산간지역 등 교통이 나쁘고 응급의료취약지역의 환자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졌다"며 "이를 통해 중증응급환자에 대한 신속하고 전문적인 응급의료가 제공돼 지역의 응급의료안전망이 크게 강화됐다"고 밝혔다.
한편 닥터헬기는 의사가 탑승해 응급현장으로 날아가며, 12유도 심전도기, 효소측정기, 환자활력측정모니터 등 응급장비와 30여가지 응급의약품을 갖춰 전문처치가 가능해 '하늘을 나는 응급실'로 불린다.
우리나라 닥터헬기는 모두 4대로 경북도(안동병원), 강원도(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인천광역시(가천의과대학 길병원), 전남도(목포한국병원)에 각각 1대씩 배치돼 운영 중이다.
올해 충남도(단국대병원)가 닥터헬기 추가지정을 받았다.강창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