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을 쉬면서 산다고 한들 생명에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인명은 순식간에 달려있다. 이러한 때에는 되도록 빠른 시간에 응급실로 가야한다. 이때 가장 빠른 수단은 닥터헬기이다. 닥터헬기로써 응급실에 도착을 하면, 응급처치를 받을 수가 있다. 닥터헬기가 인명을 살리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다. 이를 두고 ‘하늘을 나는 응급실’로 불린다. 하늘을 나는 닥터헬기는 다름이 아닌, 응급실 그 자체이다. 참으로 인명을 구조하는 수단으로써, 유용하다. ‘하늘을 나는 응급실’인 경북닥터헬기가 출범 2주년을 맞았다. 그동안 모두 726회 출동하여, 닥터헬기의 임무를 수행했다. 여기에서 임무를 수행했다고 함은, 소중한 인명을 살려냈다는 뜻이다.
지난 6일 안동병원에 따르면, 닥터헬기는 중증응급환자의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 2013년 7월 4일 출범했다. 닥터헬기는 2013년 7월 9일 첫 환자를 이송했다. 이후부터 지난해 12월19일까지 500회 출동을 기록하는 등 출범 2년 만에 726회의 임무를 수행했다. 닥터헬기는 2년 동안 모두 939회 요청을 받아, 726회 출동했다. 시민들의 출동요청에 임무중단 58회, 출동기각 213회를 기록했다. 임무중단 및 출동기각은 기상요인이 60%로 가장 많았다. 의학적 요인(경증환자), 중복요청, 물리적 요인(착륙 인계점 상황 등)이 주요원인이었다. 안동병원 항공의료팀이 닥터헬기 이송환자 670명을 분류한 결과에 따르면, 중증외상환자가 241명(36%)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뇌질환 157명(23.4%), 심장질환 80명(11.9%), 호흡곤란, 임산부 등 기타 응급환자가 192명(28.7%)을 차지했다.
응급현장까지 헬기도착 시간은 평균 16분 29초가 소요됐다. 예천, 의성, 영주지역이 11~12분으로 짧았다. 청송, 영양, 봉화지역이 13~15분, 문경, 상주가 16~18분, 울진은 평균 24분 49초가 소요되었다. 응급현장까지 도착시간은 무엇보다 중요한 대목이다. 또한 중증외상환자가 가장 많았다는 것에서 앞으로 닥터헬기의 의료시설을 갖추는 데에 시사점이다. 그다음 순서대로 의료시설 장비를 갖출 것이 요구된다. 또한 중복요청이나 경증환자는 중증환자를 위해서, 전문의가 동승한 닥터헬기의 요청을 자제해야 한다.
닥터헬기는 의사가 탑승해 응급현장으로 날아간다. 12유도 심전도기, 효소측정기, 환자활력측정모니터 등 응급장비와 30여 가지 응급의약품을 갖춰, 전문처치가 가능해 ‘하늘을 나는 응급실’로 불린다. 하늘을 나는 닥터헬기가 위와 같다면, 닥터헬기의 의료사업의 확대가 요구된다. 확대될수록 비례적으로 인명을 구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대형병원과 의료행정 당국은 닥터헬기 의료사업의 확대를 위해 노력을 다해야한다. 생명의 소중함을 위해서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