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공공운수노동조합 화물연대본부가 7일 0시를 기점으로 총파업에 돌입함에 따라 경북 포항의 철강산업단지에서는 파업 첫 날부터 3만여톤이 출하에 차질을 빚는 등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
뉴시스에 따르면, 화물연대 포항지역본부는 이날 오전 10시 포항시 남구 포스코 본사 앞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했다. 출정식에는 경찰 추산 800여 노조원들이 참여했다.
이들은 정부에 '안전운임제 확대'와 '일몰제 폐지', '운송료 인상' 등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 2020년부터 시행한 안전운임제는 화물 기사들의 임금을 보장해 과로와 과적, 과속을 방지하겠다는 취지로 만들어졌다. 하지만 일몰제에 따라 올 연말 폐지될 예정이다.
화물연대 포항지역본부는 "일몰제 폐지 법인이 발의된 지 1년6개월이 지났음에도 정부는 무응답으로 일관했다"며 "화물연대가 전면 무기한 총파업을 선언하니 불법행위에 엄정 대응하겠다며 화물노동자를 협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들은 "평균 경유가가 2000원을 넘으면서 화물노동자는 벼랑 끝에 놓여 있다"며 "경유가가 상승한 만큼 운임이 올라야 하며, 화물운송비용은 화주가 책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포항지역 화물노동자들의 무기한 총파업으로 포항 철강업계는 비상이 걸렸다. 이번 파업으로 포스코 포항제철소는 1일 2만여톤의 출하 지연 등 피해가 있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포스코 포항제철소의 1일 물동량은 4만9000톤 가량이다.
현대제철 포항공장 역시 하루 출하량 9000톤이 7일부터 전면 중단된 상태다.
당장 하루에 포항 철강업계에서 약 3만톤 이상의 출하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집계되면서 파업 장기화로 인한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철강업계는 물류업계와의 상생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며 "이번 파업 영향도를 분석하는 동시에 대응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화물연대 대구경북지역본부 조합원 700여 명은 이날 오전 구미시 공단동 성안합섬 앞에서 출정식을 열고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 등을 촉구했다.
김동수 대구경북지역본부장은 "일몰제 폐지 법안이 발의된 지도 1년 6개월이 지났다. 그동안 생존 위기에 처한 화물노동자들이 사태 해결을 위한 정부의 책임있는 대책이 마련되기를 촉구했지만 정부는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구미시 관계자는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대기업이 몰려 있는 구미국가산업단지 입주 기업들의 물류 수송에 차질이 우려된다"며 "기업, 공단 관계자 등을 만나 화물연대 파업에 따른 피해가 없도록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