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와 경북지역에서 2018년부터 최근 5년간 폐교한 학교 수가 34개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북은 전국에서 두번째로 많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강득구(안양시 만안구)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초·중·고등학교 수 증감 현황에 따르면 경북에서는 30개교가, 대구에서는 4개교가 폐교했다.
같은 기간 전국에서는 193개교가 문을 닫았다. 지역별로는 ▲전남 34개교 ▲경북 30개교 ▲경남 24개교 ▲강원 22개교 ▲충북 19개교 ▲부산 18개교 ▲경기 16개교 ▲충남 11개교 ▲울산 5개교 ▲대구 4개교 ▲전북 4개교 ▲서울 3개교 ▲인천 3개교 ▲광주·대전·세종·제주 0개교 등이다.
반면, 5년간 신설된 312개교 중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54.5%다.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신설됐다.
대구는 11개교가, 경북은 16개교가 각각 새롭게 문을 열었다.
수도권 인구 집중이 심화되면서 가장 기본적인 기반시설인 학교마저 수도권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강 의원은 "지방의 경우 학교가 없어지면 마을이 소멸하는 악순환이 가속화되기 때문에 교육부는 폐교를 막기 위한 특별한 지원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폐교 기준이 되더라도 바료 폐교하지 않고 2~3년의 휴교제도를 통해 인구가 늘고 정상화되면 다시 학교를 운영할 수 있는 기회나 공동학부, 통학버스를 지원하는 것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