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경북도, 지난해 외국인주민 증가 폭 ‘역대 최대’..
경북

경북도, 지난해 외국인주민 증가 폭 ‘역대 최대’

이경미 기자 dlruda1824@hanmail.net 입력 2024/11/18 16:20 수정 2024.11.18 16:20
2022년 보다 12.11%↑ 1만710명
적극적 해외인재 유치 노력 성과

경북도는 2024년 10월 행정안전부에서 발표한 외국인 주민 통계(2023. 11. 1 기준)에 따르면 도내 외국인 주민 수가 11만 8,274명으로 전년(2022. 11. 1 기준) 대비 1만 3,710명(13.11%)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2년 증가 수인 6,367명보다 2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지난 8년간(2015~2022) 경북도 외국인 증가 수의 평균이 3,600여 명인 것을 감안할 때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행안부 통계상 외국인 주민은 근로자, 결혼이민자, 유학생, 외국국적동포, 앞의 4가지 유형에 포함되지 않은 기타 외국인과 귀화자, 외국인 주민 자녀(출생)로 분류한다.
특히, 2022년 대비 외국인 근로자(4,141명↑, 18.03%↑)와 유학생(1,882명↑, 16.69%↑)의 증가추세가 두드러져, 두 유형의 외국인 주민 증가가 전체적인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별로는 경산(21,832명), 경주(21,050명), 포항(12,895명), 구미(10,866명), 칠곡(7,056명) 순으로 외국인주민이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총인구 대비 외국인 비율이 높은 지역은 고령(9.5%), 경주(8.1%), 성주(7.7%), 경산(7.4%) 순으로 집계됐다.
모든 시군의 외국인 수가 전년 대비 7% 이상 증가하였으며, 경산 (3,868명↑), 경주(1,770명↑), 구미(1,151명↑), 포항(976명↑) 순으로 증가하였다. 증가율은 증가 인원과는 다르게 상주시가 25.29%로 가장 높게 집계되었으며 의성(21.78%↑), 경산(21.53%↑), 영양(19.91%↑), 영덕(19.74%↑) 순으로 나타났다.
또, 국적별로는 한국 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91,311명) 중 베트남(23,305명)이 25.52%로 가장 많았고, 태국(14,092명) 15.43%, 중국(한국계 포함 13,515명) 14.80%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도는 2023년 외국인 주민의 증가는 E-9 쿼터 확대, K-point E-7-4, 지역특화형 비자 시행, 계절노동자 체류 기간 확대 등 저출생·인구 소멸 대응 및 이민정책에 대한 정부 정책 기조 변화와 함께 경북도의 적극적인 외국인 정책 추진이 동반된 결과로 보고 있다. 이경미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