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2014년부터 중점 추진해 온 건강마을 조성 사업이 지역 주민의 표준화 사망률 감소와 건강행태 개선 등 지역 주민 건강증진 향상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마을 조성 사업은 지역 간 건강 격차 해소와 건강 수준 향상을 위해 건강취약지역(읍면동 단위)을 대상으로 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마을 건강위원회를 구성해 계획수립, 의사결정, 예산편성, 실행 등 전 과정에 주민이 참여하는 건강한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이다.
한편, 경북도는 건강마을 조성 사업 10년을 맞아 사업의 성과와 향후 발전 방안 등을 모색하기 위해 경북행복재단과 함께 지난 2월부터 10월 말까지 사업에 참여한 44개 건강마을을 대상으로 ‘경북도 건강마을 조성 사업 성과 및 발전 방안’에 대한 정책연구를 추진 해왔다.
그 결과 ▲표준화 사망률(SMR) 감소 ▲건강행태 개선 ▲공동체·유대감 강화 등의 괄목한 성과와 함께 주민들의 삶의 질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한 지역이나 집단의 사망률을 다른 지역이나 집단의 사망률과 비교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표인 표준화사망률(SMR)이 경북 평균 16.1%(112.7→94.6) 감소한 데 비해 건강마을은 20.2%(119.7→95.5) 감소하였으며, ▲현재 흡연율 10.6% 감소(경북 5.9%, 전국 9.5% ↓) ▲고위험 음주율 40.1% 감소(경북 9.9%, 전국 6.7% ↓)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 16.7% 증가(경북 9.9%, 전국 10.7% ↑) ▲우울감 경험률 8.1% 감소(경북 4.7% ↓, 전국 5.3% ↑) ▲고혈압 약물치료율 5.6% 증가(경북 3.2%, 전국 2.9% ↑) ▲당뇨병 약물치료율 14.0% 증가(경북 3.0%, 전국 4.6% ↑) 등 건강마을 조성 사업에 참여한 마을주민의 건강행태가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경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