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여야, 위협 요인 1위 ‘이재명·윤석열’ 리스크..
정치

여야, 위협 요인 1위 ‘이재명·윤석열’ 리스크

김상태 기자 gbnews8181@naver.com 입력 2025/03/06 14:04 수정 2025.03.06 14:05
尹 대통령 임기 3년 단축 개헌
반대 59.5 찬성 28.9% 차지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서자 여야 대권주자들의 움직임도 본격적으로 가동되는 모습이다.
우리 국민은 만약에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거대 양당인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의 최대 위협 요인으로 ‘이재명 사법리스크’와 ‘윤석열 리스크’를 지목한 것으로 나타났다.
KPI뉴스가 리서치뷰에 의뢰해 지난 2, 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민주당의 최대 위협 요인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37.0%가 '이재명 사법 리스크'라고 답했다.
이어 2위는 '집권 시 일방 독주에 대한 의구심'(17.1%), 3위는 ‘친명·개딸’의 공격적 언행에 따른 내부 분열'(10.6%) 순이었다.
이재명 대표가 언급한 '중도보수 우클릭에 따른 정체성 논란은 6.8%였다. 다만, 응답자의 28.5%는 '모름/기타'를 선택했다.
권역별 전 지역과 40대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연령대에서 '이재명 사법 리스크'가 1위를 기록했다. 40대에서는 '모름/기타'(34.5%)와 '이재명 사법 리스크'(33.1%)가 팽팽했다.
'이재명 사법 리스크'라고 답한 비율은 진보층(26.7%)보다 보수층(47.7%)과 중도층(33.7%)에서 더 높았다.
보수층과 중도층에서는 '집권 시 일방 독주에 대한 의구심'(보수 25.5%, 중도 16.2%)이라는 응답도 진보층(3.8%)보다 매우 앞섰다.
또 국민의힘의 최대 위협 요인을 묻는 질문엔, 응답자의 27.2%가 '헌정 중단을 야기한 윤석열 리스크'라고 답했다. 이어 '탄핵 찬반 갈등에 따른 보수 분열'(19.1%), '전광훈 등 극우 세력 동조에 따른 고립'(17.5%), '대선 주자가 연루된 명태균 게이트'(16.9%) 순으로 조사됐다. 다만, 응답자의 19.3%는 '모름/기타'를 선택했다.
연령대별로는 70대 이상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연령대에서 '헌정 중단을 야기한 윤석열 리스크'가 1위를 차지했다. 70대 이상에서는 '탄핵 찬반 갈등에 따른 보수 분열'(25.4%)이 가장 많았다.
권역별로는 강원/제주와 경기/인천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헌정 중단을 야기한 윤석열 리스크'가 1위를 기록했다.
강원/제주에서는 '탄핵 찬반 갈등에 따른 보수 분열'(30.5%), 경기/인천에서는 '모름/기타'(22.6%)가 가장 많았다.
보수층에서는 '탄핵 찬반 갈등에 따른 보수 분열'이 29.2%였다.
진보층과 중도층에서는 '헌정 중단을 야기한 윤석열 리스크'(진보 42.7%, 중도 29.1%)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또 이 조사에서 차기 대통령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하고 개헌을 완수하는 방안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59.5%가 반대한다고 밝혔다.('매우 반대' 39.2%, '반대' 20.3%)
반면, 찬성한다는 응답은 28.9%였다.('매우 찬성' 12.3%, '찬성' 16.6%). 찬반의 격차는 30.6%포인트(p)로 오차 범위 밖이다. 응답자의 11.6%는 '모름/기타'를 택했다.
전 연령과 지역에서 반대가 찬성보다 많았다. 지지 정당별 민주당 지지층에서 반대(71.5%)가 찬성(18.1%)의 약 3.9배로 집계됐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도 반대(49.9%)가 찬성(37.9%)의 약 1.3배였다. 이념 성향별 보수층, 진보층, 중도층에서도 반대가 과반을 차지했다.
반대 의견 비율은 진보층 67.3%, 중도층 62.1%, 보수층 53.3%였다.
또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임명하더라도 윤 대통령 탄핵심판에 참여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찬성 의견보다 앞서는 결과도 나왔다.
이 조사에서 마은혁 후보자가 임명될 경우, 윤 대통령 탄핵심판에 참여해야 한다는 의견은 35.2%로 나타났다. 반면, 반대 의견은 54.6%로 집계됐다. 찬반 의견의 격차는 19.4%포인트로 오차범위 밖이다.
정치성향별 보수층에서는 마 후보자 임명 시 탄핵심판에 참여하는 것에 대해 반대하는 의견(76.3%)이 찬성 의견(16.9%)에 비해 4배 이상 많았다.
중도층에서도 반대(51.4%)가 찬성(37.1%)보다 14.3%포인트 많았다.
다만 진보층에서는 찬성(56.9%)이 반대(31%)보다 많았다.
특히, 마 후보자의 탄핵심판 반대 이유로는 민주당 추천 인사(59.5%), 탄핵심판 지연(30.2%) 등이 꼽혔다.
응답자의 10.9%는 ‘모름·기타’를 택했다.
여권에서는 민주당이 추천한 진보 성향인 마 후보자를 헌법재판관에 임명하는 것에 대해 극렬히 반대하고 있다.
부산 출신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은 국회 내 로텐더홀에서 마 후보자 임명을 반대하는 단식 농성을 5일 벌이고 있고, 같은 지역구 시의원 4명도 동참했다.
이번 조사는 ARS 전화 조사로 진행됐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 응답률은 4.0%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의 홈페이지 참조하면된다. 김상태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