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국민의힘, 대선 경선 선관위원장에 ‘황우여’..
정치

국민의힘, 대선 경선 선관위원장에 ‘황우여’

김상태 기자 gbnews8181@naver.com 입력 2025/04/07 15:55 수정 2025.04.07 15:55
“공정한 경선 관리 적임자”
尹 처신 ‘자숙해야’ 68.6%

6월 초 ‘장미 대선’을 치르게 되면서 정치권과 여론 지형이 대선 국면으로 빠르게 넘어가고 있는 가운데, 국민의힘이 대선 경선을 위한 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 구성을 마쳤다.
당은 7일 5선 의원 출신인 황우여 전 비대위원장을 선관위원장으로, 부위원장으로는 이양수 사무총장(당연직)을 임명했다. 위원에는 조은희·이상휘·조지연·박준태 의원, 전주혜 전 의원과 호준석 대변인, 김채수 중앙대학생위원장, 이소희 전 혁신위원, 박건희 미디어국 과장 등 9명 참여한다.
TV 조선 앵커 출신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선관위 구성 후 기자들과 만나, 황 위원장 인선에 대해 “황 위원장은 수도권 인천 5선 의원으로 우리당에 오랫동안 봉사했고, 최근 비대위원장 역임했기 때문에 당 내부 사정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다”며 “이런 점에서 경선을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해줄 수 있는 적임자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 구체적인 경선일정에 대해 신 수석대변인은 “내부적으로 여러가지 경우의 수를 검토하고 있다”라고 답했다.
당에 따르면 컷오프 및 결선투표 검토 등에 대해선 아직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비대위에서는 대선과정에서의 해당 행위를 엄정하게 처리키로 했다. 특히, 당 주요당직자가 후보자 경선 캠프에 합류할 경우 당직을 사퇴한다는 방침도 정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정국에서 우리 국민은 극심한 갈등을 겪었고, 국민의힘 지지자의 경우 70%가량이 탄핵에 반대한 바 있다. 하지만 '탄핵 이후 정국'에선 무엇보다도 사회 통합과 안정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가운데 국민 10명 중 7명가량은 윤 전 대통령의 ‘자숙’을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KPI뉴스가 리서치뷰에 의뢰해 지난 4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조기 대선 국면에서 윤 전 대통령이 어떤 행보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응답자 68.6%가 '국가적 위기를 초래한 당사자로서 자숙 해야한다'고 답변했다.
반면, '파면의 억울함을 호소하며 대선에 개입해야한다'는 응답자는 20.6%에 그쳤다.
두 의견의 격차는 48.0%포인트(p)이며, '자숙해야한다' 응답이 3.3배 높았다. 자숙해야 한다는 응답은 전 계층과 모든 지역에서 우세했다.
윤 전 대통령 지지 성향이 상대적으로 강한 60대와 70대 이상의 고연령층에서의 자숙 응답은 68.7%, 66.9%로 집계됐다.
보수의 텃밭인 영남권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보수의 심장 TK(대구·경북)에서 윤 전 대통령이 자숙해야 한다는 응답은 66.1%였고, PK(부산·울산·경남)에선 69.8%로 집계됐다.
이념성향별 보수층에선 자숙 42.5% vs 개입 38.4%로, 자숙해야 한다는 응답이 더 높았다.
그동안 윤 전 대통령에 40%대의 지지를 보냈던 보수층조차도, 대선 개입에 대한 우려와 경계심이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진보층에선 자숙이 85.4%로 압도적이었다.
정치권 일각에선 국민의힘 대선후보 경선에서 윤 전 대통령 행보를 중요 변수로 보고 있다.
만약에 윤 전 대통령이 핵심 지지층을 등에 업고 경선에 영향력을 행사할 경우, 친윤계 주자가 유리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이 경우 비윤계 주자들의 반발로 계파 갈등이 격화되는 등 거센 후폭풍이 불 것은, 불 보듯 뻔한 일이다. 따라서 조기 대선에서 반드시 무당층과 중도층을 잡아야 하는 국민의힘 입장으로선 단호한 결정이 필요한 셈이다.
이번 조사는 ARS 전화조사로 진행됐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 응답률은 3.8%다. 자세한 내용은 KPI뉴스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의 홈페이지 참조하면된다. 김상태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