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등록(10일)을 앞두고, 국민의힘을 포함한 제3지대 단일후보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처음으로 앞선다는 결과가 나왔다.
리서치뷰가 지난 4월 30일부터 5월 2일까지 전국 만18세 이상 휴대전화 가입자 1,000명을 대상으로 ARS 자동응답시스템(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p, 응답률 3.0%)방식으로 진행한 대선 후보 양자 대결에서, 응답자의 47%가 ‘제3지대 단일후보’을 선택했다.
반면 민주당 후보는 43%로, 국민의힘을 포함한 제3지대 단일후보가 오차범위 내인 4%p 앞섰다. 이밖에 기타 후보는 4%, 무응답은 6%였다.
민주당 후보는 40대(57%), 50대(52%), 경기/인천(51%), 호남(58%) 지역에서 앞섰다. 반면, 제3지대 단일후보는 18/20대(52%), 60대(55%), 70대 이상(59%), 서울(49%), 충청(56%), 대구/경북(51%), 부산/울산/경남(58%), 강원/제주(55%)에서 각각 50% 안팎의 지지율로 우세를 보였다.
지지 정당별 민주당 지지층의 90%와 진보층의 80%는 ‘민주당 후보’를 지지했고, 국민의힘 지지층의 91%와 보수층의 77%는 ‘제3지대 단일후보’를 선택했다. 다만, 캐스팅 보트인 중도층에서는 ‘민주당 후보(43%) vs 제3지대 단일후보(44%)’로 접전을 펼쳤다.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는 민주당이 39%, 국민의힘이 38%로 접전 양상을 보였다. 이어 조국혁신당(4%), 개혁신당(3%), 새미래민주당(3%), 진보당(1%) 순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의 3월 말 대비 민주당은 5%p(포인트)↓하락한 반면, 국민의힘은 4%p↑상승했다.
이념 성향별 보수층의 73%는 국민의힘, 진보층의 79%는 민주당을 각각 지지한 가운데, 중도층에서는 ‘민주당(38%) vs 국민의힘(30%)’로 민주당이 우위를 보였다.
하지만 3월 대비 중도층에서 민주당은 11%p(49% → 38%)↓ 하락했고, 국민의힘은 5%p(25% → 30%) ↑상승하면서 격차가 크게 좁혀졌다.
앞서 대법원은 지난 1일 이재명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해 유죄 취지로 파기 한송했다. 서울고등법원이 3월26일 무죄를 선고한 판결을 뒤집은 것이며, 이후 형사 7부(재판장 이재권)가 5월 15일 첫 공판을 갖는다. 공직선거법상 벌금 100만 원 이상의 형이 확정되면 이재명 후보는 피선거권이 박탈된다.
여론조사 전문가는 “이재명 후보의 사법 리스크가 다시 부각하면서, 대선 판세에 영향을 미치는 모습이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민주당 지지층과 중도층의 이탈이 이번 대선의 변수로 작용 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같은 흐름은 최근 무소속 후보로 출마한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이재명 후보의 가상 양자 대결에서도 나타났다.
코리아정보리서치가 지난 1~2일 전국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차기 대선 주자 중 ‘이재명-한덕수’ 양자 대결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33.8%가 한 전 총리를 선택했다.
반면 이 후보는 47.6%를 기록했다. 두 사람의 격차는 8.8%p로 좁혀졌다.
성별로 보면 여성층에서 한 전 총리는 40.1%로 이 후보(45.8%)와 5.7%p 차이를 보였다. 연령대별로는 한 전 총리가 60대 44.1%(이 후보 43.2%)와 70대 이상 54.8%(이 후보 29.9%)로 이 후보를 앞섰다.
지역별로는 한 전 총리가 대구/경북에서 50.1%(이 후보 31.2%), 부산/울산/경남 42.7%(이재명후보 41.4%)로 이 후보에게 우세를 보였다.
캐스팅 보트 지역인 충청/강원 지역에서는 한 전 총리(42.1%)와 이 후보(43.5%)가 접전 양상이었다.
이념 성향별로는 한 전 총리가 보수층에서 70.4%로 나타나며 이 후보(15.5%)를 크게 앞섰다. 반면 이 후보는 진보층에서 81.9%(한 전 총리 12.2%)를 기록하며 우세를 보였다.
한덕수 전 총리는 지난 2일 대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임기 단축 개헌’과 ‘제3지대 빅텐트’ 전략을 중심으로 한 정치 개혁 구상을 제시했다.
또 대통령에 당선될 경우, 취임 첫해에 개헌 지원 기구를 설치하고 2년 차에 개헌을 완료하여 2028년 총선과 대선을 동시에 실시한 뒤 3년 차에 퇴임하겠다는 로드맵도 밝혔다.
이는 현행 5년 단임제를 4년 중임제로 전환하고, 대통령과 국회의원의 임기를 일치시키는 분권형 정부 체제를 완성 시키겠다는 것이다.
여론조사 전문가는 “한 전 총리의 임기 단축 개헌과 빅텐트 전략은 정치권의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어, 향후 대선 판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번 조사는 천지일보 의뢰로 휴대전화 RDD 자동응답 방식을 통해 실시됐으며 응답률은 5.4%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김상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