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당인 더불어민주당이 강력한 ‘국정쇄신’ 드라이브를 걸며 민생에 집중하고 있는 것에 반해, 소수 여당이 된 국민의힘은 내부 혁신 방안을 두고 3주 가까이 표류하고 있어 당원들과 보수층으로부터 외면받고 있는 모습이다.
오는 30일 임기를 마치는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이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 당론 무효화를 포함한 '5대 개혁안' 에 대해 당원 여론조사를 통한 동력 확보를 주장하고 있는 반면, 송언석 원내대표는 이달 중 당내 혁신위를 구성해 ‘개혁 방식’을 정리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어서다.
국민의힘이 뼈를 깍는 변화의 과정을 거쳐, 국민 신뢰를 회복하고 새로운 세대와 시민이 공감하는 보수정당을 거듭나야 하는 길과 정반대의 모습이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국민의힘이 대선 패배의 첫 번째 리스크인 윤 전 대통령의 '12.3 비상계'에' 정당성에서 벗어나, 전당대회 전까지 당원과 국민 신뢰회복에 집중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국민 10명 중, 8명 이상은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부정했다.
한국리서치가 시사인의 의뢰로 6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간 전국 성인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 3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어떤 의견이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82%가 잘못되었다고 평가했다.
반면, 정당했다는 응답은 12%였고, 모르겠다는 6%였다.
연령대별 비상계엄 선포가 잘못되었다고 답한 응답자는 40대에서 90%로 가장 높았다. 이밖에 18~20대는 83%, 30대 82%, 50대 85%, 60대 79%, 70세 이상 72%가, 비상계엄 선포가 잘못되었다고 답했다.
지역별 비상계엄 선포가 잘못되었다는 응답은 광주/전라에서 92%로 가장 높았고, 강원/제주가 91%로 뒤를 이었다. 보수의 심장 TK(대구/경북)조차도 잘못되었다는 의견이 68%로 매우 높았고, 정당했다는 응답은 21%에 그쳤다.
이밖에 서울 81%, 인천/경기 82%, 대전/세종/충청 81%, 부산/울산/경남 84%가, 비상계엄 선포가 잘못되었다고 응답했다. 이념성향별 진보층에서 97%, 중도층에서는 86%가 잘못되었다고 응답했다. 보수층에서는 67%, 모름층에서는 63%가 비상계엄 선포가 잘못되었다고 판단했다.
21대 대통령선거에서 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지지한 유권자 97%,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를 지지한 유권자 59%,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를 지지한 유권자 91%가,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가 잘못되었다고 판단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4일에서 5일까지 이틀간 지역별, 성별, 연령별 기준 비례할당 추출한 전국 성인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웹조사(휴대전화 문자, 카카오톡 등을 통해 URL 발송)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33.6%,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에서 ±2.2%p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여론조사 전문가는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과 관련해, "국민의힘은 그 정당성 주장으로부터 벗어나 쇄신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고 분석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당시에도 당 일각에서 “당이 국민 눈높이에 맞춰 자정해야 한다”며 분리 행보를 보였던 것처럼, 이번에도 윤 전 대통령 개인의 판단임을 분명히 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비상계엄 논란이 헌법상 '기본권'과 '시민의 정치 참여권'을 위협하는 이슈이므로, 국민의힘은 ‘민주주의·입헌주의’ 수호 정당임을 명확히 하는 대국민 메시지를 내야 한다.
따라서 당 지도부도 단순히 윤 전 대통령을 ‘지켜주는 당’이 아니라 책임 있는 보수정당임을 보여주는 기회가 되야 한다. 그래야만 과거 권의주의 이미지를 벗고, 헌법질서를 수호하는 보수 정당으로 재정립 할 수 있다. 김상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