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당인 더불어민주당이 7월 임시국회에서 윤석열 정부의 거부권 행사로 무산된 쟁점 법안을 우선 처리키로 하면서 속도전을 벌이는 양상이다.
다만, 막대한 재정 투입을 수반하는 일부 법안에 대해서는 당정 협의를 거쳐 속도 조절을 하기로 했다.
13일 민주당 원내 관계자는 "7월 임시국회에서는 윤석열 정부가 거부권을 행사해 폐기된 법안 등 중점 추진 법안을 상임위 절차대로 처리한다는 방침"이라고 밝혔다.
또 민주당은 윤석열 정부 때 대통령 및 권한대행이 거부한 법안 42건(중복 포함) 중 아직 처리되지 않은 법안 가운데 '방송 3법'과 '농업 2법'을 우선해서 처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가운데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편을 골자로 하는 방송 3법(방송법·방송문화진흥회법·한국교육방송공사법 개정안)은 과거 윤석열 전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두 차례 폐기됐으나, 최근 민주당 주도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를 다시 통과했다.
이른바 '농업 4법' 가운데 재해 관련 2법인 농어업재해대책법·농어업재해보험법 개정안은 여야 합의로 관련 소위를 넘은 상태다. 이들 법안은 이미 상임위 절차가 상당 부분 진행된 만큼 이번 임시국회 본회의 처리가 가능할 전망이다.
아울러 민주당은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 사항인 상법 보완 개정도 이번 임시국회에서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상법 개정안 처리 당시 기존 민주당 안에서 여야 간 쟁점으로 보류된 집중투표제와 감사위원 분리 선출 확대를 관철하겠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국가의 지역화폐 재정 지원을 의무 규정으로 두는 지역화폐법과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를 교과서가 아닌 '교육자료'로 격하하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도 민주당 주도로 상임위를 통과해 법사위 심사 절차를 남겨둔 상황이다.
민주당은 법안 처리 속도전을 위해 '거부권 법안'에 대해서는 법사위에서 사실상 별도의 심사를 하지 않는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국회 심의를 한 차례 진행했기 때문에 추가 논의가 필요 없다는 이유에서다. 여기에는 다른 상임위 소관 법률을 심사하는 제2소위의 위원장을 국민의힘이 맡고 있다는 점도 고려됐다.
민주당의 거부권 법안 속도전은 계파 갈등 등으로 내홍을 겪는 국민의힘 지지율이 20%선마저 붕괴한 상황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김상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