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국민의힘, 당권 경쟁 ‘탄핵 찬반’ 대결 구도?..
정치

국민의힘, 당권 경쟁 ‘탄핵 찬반’ 대결 구도?

김상태 기자 gbnews8181@naver.com 입력 2025/07/21 17:52 수정 2025.07.21 17:52
김문수 안철수 조경태 장동혁 한동훈, 당권 도전 막판 고심
김 “강한 야당” 장 “극우 프레임”

국민의힘 당권 레이스가 본격적으로 막이 오른 가운데, 당권경쟁이 이른바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찬반 주자 간 구도로 흐르고 있는 모습이다.
또, 탄핵에 반대하며 지난 대선 국민의힘 후보로 나섰던 김문수 전 지사가 전당대회 출마를 선언한 데 이어 역시 탄핵 기각을 강하게 촉구했던 재선의 장동혁(충남) 의원도 21일 출마를 공식화했다.
반대로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비판하며 탄핵에 찬성했던 6선의 조경태(부산) 의원도 이날 출사표를 던졌다. 탄핵 표결에 동참했던 안철수 의원 역시 일찌감치 출마 의사를 밝힌 상태다.
특히, 국힘 당 비상대책위원장·대표 시절부터 친윤(친윤석열)계와 각을 세웠던 한동훈 전 대표도 당권 도전에 무게를 두고 출마를 저울질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권 주자들의 모습을 보면, 이번 전당대회 역시 지난 대선 후보 경선과 마찬가지로 탄핵 찬반 주자 간 경쟁 구도로 치러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당장 친윤계를 비롯한 구주류에 대한 '인적 청산'과 극우성향의 전한길씨 입당 문제 등을 두고 당 내부에선 뚜렷한 대치 전선이 형성되고 있다.
김문수 전 지사는 전날 출마 회견에서 윤희숙 혁신위원장의 인적 쇄신안에 대해 "당이 쪼그라드는 방향으로 혁신한다면 반은 혁신이지만 상당한 자해 행위가 될 수 있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또 전한길씨 입당에 대해서도 "특별한 문제가 없으면 입당을 받아들여야 하고 문호를 개방해야 한다"면서 통합을 강조했다.
장동혁 의원 역시 이날 "일부 낡은 언론매체와 탄핵에 찬성했던 내부총질 세력이 탄핵에 반대했던 수많은 국민과 국민의힘 그리고 나를 극우로 몰아가는 꼴을 더는 지켜볼 수 없다"며 "반드시 당 대표가 돼 당과 당원을 모독한 자들에 대해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공세를 펼쳤다.
앞서 장 의원은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것, 선거 때만 쓰고 버리는 것이 국민의힘의 혁신이라면 국민의힘은 더 이상 희망이 없다"고 비판한 바 있다.
반면, 찬탄(탄핵찬성)파 주자들은 반탄(탄핵반대)파가 극우 세력과 연대 움직임을 보인다고 비판하면서, 쇄신과 혁신을 부각했다.
조경태 의원은 이날 출마 회견에서 "우리 당을 백척간두의 위기로 몰고 간 세력들을 청산하는 데 주저하지 않겠다"며 "잘못된 과거와의 완전한 절연을 통해 우리 당을 살려내겠다"고 밝혔다.
안철수 의원도 회견에서 "김문수 전 장관이 '윤어게인', 부정선거, 계몽령을 옹호하는 사람들까지 당을 열어 수용하자고 했다"며 "아직도 5공화국에 사는 사람처럼 자꾸 뒤만 보는가. '친길(친전한길) 당대표'가 되려 하는가"라고 반문했다.
한동훈 전 대표 역시 "대선 후 반성과 쇄신이 아니라 극우 인사는 입당시키고, 당의 쇄신을 요구하면 징계하겠다고 엄포를 놓는 적반하장식 역주행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반탄 진영을 비판한 바 있다.
찬탄파 후보들은 인적청산을 포함한 당 쇄신 방향에 공감대를 형성한 만큼 전대 과정에서 이른바 '반윤(반윤석열) 연대'를 형성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조경태 의원은 한 전 대표와 정치적 동반자로 분류되고, 안 의원 또한 최근 한 전 대표와 만나 쇄신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탄핵 찬반 주자 간 대치 속 윤 전 대통령 지지를 선언한 전씨가 전대 표심에 미칠 영향력이 어느 정도일지도 관심사다.
전씨는 이날 채널A 유튜브에서 "출마 같은 것 안 한다. 다만 저와 평당원들의 요구를 들어줄 수 있는 후보에 대해 영향력은 행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9일 입당한 전씨는 후보 등록일인 오는 30∼31일까지 책임당원 자격이 되지 않아 원칙적으로 전대 출마가 불가능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헌·당규에 따르면 피선거권은 책임당원에게 부여되고, 책임당원이 되려면 3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해야한다. 김상태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