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만 지명 철회하고,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임명 수순을 밟자, 21일 국민의힘이 강력 반발했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이날 이재명 대통령이 ‘이진숙 교육부·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가운데, 이진숙 후보자만 지명 철회한 배경과 관련해 "결정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친 것은 여당 지도부의 의견이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날 이재명 대통령은 논문표절 의혹이 불거진 이진숙 장관 후보자 지명을 철회했다.
다만, 보좌진 갑질 논란에 휩싸인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임명키로 했다.
우상호 수석은 CBS 라디오에 출연해 "(이 대통령이) 여러 가지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런 결정을 내렸다"고 이같이 밝혔다.
우 수석은 "두 명이 다 안 된다는 여론도 꽤 높았고, 임명을 강행해야 한다는 의견도 막판에는 상당히 많이 올라왔다"며 "여러 가지 의견을 제가 가감 없이 전달했고 최종적으로 인사권자는 이렇게 결정하셨는데, 왜 이런 결정을 내렸는가에 대한 설명을 저한테 하시지는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만 제가 강 후보자에 대한 여러 의견을 전달해 드렸는데, 마지막에 가장 영향을 미친 것은 여당 지도부의 의견으로 보인다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강 후보자를 비롯한 장관 후보자들에 결격 사유가 없었다는 소관 상임위원회 의견을 존중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지난 19일 이 대통령과 여야 원내대표의 회동에서도 이런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현역 국회의원이라는 점이나 이 대통령과의 친분 등은 전혀 작용하지 않았다고 우 수석은 설명했다.
우 수석은 진행자가 '강 후보자는 (이 대통령과) 잘 아는 사이이고 이 후보자의 면면은 몰랐던 점이 주효했겠느냐'는 질문에, "그건 어디 우물가에서나 도는 얘기 아니겠느냐"고 반문했다.
반대로 이 대통령이 이 후보자에 대한 지명을 철회한 것과 관련해선, "사실은 여러 가지로 자격이 된다고 봤고, 여러 의혹도 많이 해명됐다고 봤다"며 "그런데 결국은 여론의 벽을 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본인은 상당히 억울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자진 사퇴가 아닌 지명 철회 형식을 취한 것에 대해서는 "당사자와 상의한 끝에 나온 방법이 지명 철회"라며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본인이 원하시는 대로 해 드렸다"고 밝혔다.
우 수석은 또 "인사권자 입장에서는 한 분도 낙오 없이 잘 지명되도록 하고 싶지 않았겠느냐"며 "(이 대통령이) 상당히 고심하셨다. 하루를 꼬박 고민하시고 연락을 주셨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통령의 선택이 있기 전까지는 다양한 의견을 전달하고 같이 토론도 하지만, 결정이 내려진 다음에 참모가 이러쿵저러쿵 그 결정을 훼손할 수 있는 얘기를 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며 "동의하지 않는 분들의 서운함도 이해하지만 국민의 이해를 당부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강 후보자와 관련한 판단이 앞으로 실제 임명하기까지의 과정에서 바뀔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임명하니까 어제 발표를 한 것이다. 만약 임명 안 할 거면 왜 나눠서 발표했겠느냐"고 일축했다.
강 후보자의 경우 국회 여성가족위원장을 현재 야당이 맡고 있기 때문에 여당 단독으로 청문보고서를 채택할 수 없는 만큼 조만간 이 대통령이 재송부 요청 절차를 밟을 것으로 관측된다.
대통령은 국회에서 기한 내 청문보고서 채택이 불발된 경우 10일 이내로 기간을 정해 청문보고서 재송부를 요청할 수 있으며, 국회가 요청에 응하지 않으면 다음 날부터 청문보고서 없이 임명할 수 있다.
현재까지 이재명 정부 내각 국무위원 중 청문보고서 채택 없이 임명된 사례는 없다.
그러자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 정권은 권력형 슈퍼 갑질 정권으로 등극했다"고 반발했다.
송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내심 기대했지만 혹시나 했더니 역시나였다. 국민의 상식에 맞서 싸우겠다는 선전포고로 읽힌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여론을 듣는 척, 고뇌하는 척, 소통하는 척 시늉만 내고 결국 갑질 측근을 안고 가는 답정너식 결정으로 보인다"며 "갑질 불패, 아부 불패, 측근 불패가 아닐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청문회에 나와서 남은 음식을 아침에 먹으려고 차에 두고 내렸다는 등 변기 수리를 지시한 적 없다는 등 입에 침도 바르지 않고 거짓말을 늘어놓고 뻔뻔하게 법적 조치까지 운운했던 2차 가해자를 장관으로 모시게 된 여가부는 2차가해부, 즉 여가부가 아닌 2가부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비판의 수위를 높였다. 김상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