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지역이든 경제발전을 하려면, 교통이 보다 편해야한다. 지금은 교통시대이기 때문이다. 교통이 불편하다면, 사람과 물류의 이동도 비례적으로 자본의 창출이 더디게 된다. 경북도가 그동안에 줄기차게 요구한 철도망의 구축이 대부분 성취하게 되었다. 경북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에서 수립 추진 중인 제3차 국가 철도망계획에 경북도민들이 요구한 신규 철도노선 대부분이 반영된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 4일 개최된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 수립을 위한 공청회에서 경북도가 요구해온 ‘중부내륙철도’, ‘남부내륙철도’, ‘구미산단선’, ‘지천대구산단선’, ‘동해중부선 전철화’ 등 대부분 사업이 반영되었다.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이란 철도건설법 제4조에 따라 철도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정부의 10년 단위 중단계 계획이다.
철도의 중장기 건설계획, 다른 교통수단과의 연계교통체계의 구축, 소요재원의 조달방안, 환경친화적인 철도 건설방안 등이 들어 있다. 국토교통부는 전국의 각 지자체가 제출한 101개 사업에 대하여 지난해 3월부터 연구용역을 실시해 왔다. 이번 공청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반영해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수립 연구’ 최종안을 올해 상반기 중 마련할 계획이다. 경북도 최대진 지역균형건설국장은 경북도가 경제적 논리에 치우치지 말고 국민 대통합과 지방 균형발전 측면에서 지역의 철도망구축사업에서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반영 되어야 함을 정부 측에 강력히 건의해 왔다. 현재 추진 중인 철도사업은 물론 금번 신규반영 사업과 추가 검토대상사업에 대해서도 조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정부와 면밀한 협의를 해 가겠다고 밝혔다.
철도가 경제논리로 따진다면, 우리가 추구하는 지역의 균형발전이 깨지고 만다. 철도는 공공재로써, 향후까지도 고려해야만 마땅한 법이다. 철도는 미래 자본의 밑천이다. 경북도는 앞으로도 촘촘한 철도망 구축을 위한 노력을 다해야한다. 지역출신 정치인들을 설득도 해야 한다. 경북도의 행정력과 정치인이 함께할 때에, 경북도민들의 요구도 성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