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장관 김종덕)와 경상북도(지사 김관용), 안동시(시장 권영세)가 지원하고 있는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이용두)은 오는 3월 7일(월) 개원 20주년 기념식을 갖는다.
1996년 안동시 동부동 옛 군청청사에서 작은 사무소로 시작한 국학진흥원의 역사가 어언 성년의 나이가 된 것이다. 기념식에서는 직원 및 내빈들을 모시고 지난 20년을 되돌아보고 국학진흥원의 발전에 기여한 관계자들을 격려할 예정이다.
당초 한국국학진흥원의 설립 논의는, 한국사회가 나아가야 할 이념적 방향을 체계적으로 정립해야 한다는 생각과 이를 위해서 무엇보다 선조들이 남긴 풍부한 지혜와 가치관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는 여론에서 시작되었다.
또한 정신문화의 바탕이 되는 각종 기록유산이 산업화 및 도시화와 더불어 급속히 멸실되어 가고 있는 현실도 국학진흥원 설립의 중요한 자극제가 되었다.
기록유산에 대한 현대인들의 관심이 소홀해지고 젊은이들이 도시로 떠나면서 기록유산의 관리는 전적으로 농촌에 남은 연로한 후손들의 손에 맡겨져 있었으며, 국가적 관심의 사각지대에 방치된 기록유산은 훼손과 도난에 무방비로 노출됨으로써 수많은 귀중한 전적들이 전국으로 흩어지고 있었다.
국학진흥원은 2001년 안동시 서부리에 현재의 신청사를 준공한 이후 본격적으로 민간 소장 기록자료의 조사·수집 및 보존사업에 뛰어들었고, 수집된 기록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국학 연구, 전시·연수사업으로 그 사업 영역을 확대해 왔다.
그 동안 한국국학진흥원은 전국 각지의 문중, 서원 등에서 목판과 고서를 비롯한 민간 소장 기록유산 약 43만점에 달하는 자료를 기탁 받아 국내 최다 기록자료 소장기관으로서의 위상을 다졌으며, 작년 10월에는 소장 유교책판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는 기쁨을 누리기도 했다.
또한 각종 학술대회와 인문학 포럼, 고전번역과 이야기할머니 사업 등과 같이 국학의 대중화를 위해서도 꾸준히 힘을 쏟아왔다. 현재 전라도, 충청도 등 타지역에서도 한국국학진흥원을 벤치마킹한 기구 설립을 위한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한국국학진흥원은 특히 비지정 민간 소장 기록유산의 보존 및 관리를 위한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평가되고 있다.
한국국학진흥원에서는 그간의 흔적을 올바로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부대행사로서 20년사 발간, 홍보영상 제작, 개원20주년 특별전 개최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