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30~40대 남성 고혈압 관리 미흡…"건강생활 ..
사회

30~40대 남성 고혈압 관리 미흡…"건강생활 실천 중요"

운영자 기자 입력 2015/05/14 19:08 수정 2015.05.14 19:08

 

 보건당국이 경제활동이 가장 활발한 30대~40대 성인 남성의 고혈압 예방·관리가 미흡하다며 건강생활 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질병관리본부는 14일 '세계 고혈압의 날'(5월17일)을 앞두고 우리나라 국민의 고혈압 관리 실태를 발표했다.
고혈압은 우리나라 성인(만30세 이상) 10명 중 3명에게 나타나는 흔한 질환으로, 고혈압 유병자(2013년 기준)는 약 9백만 명에 달한다.
분석 결과 고혈압 환자 3명 중 1명은 자신이 고혈압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10명 중 4명은 치료를 받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특히 30~40대 고혈압 환자 3명 중 2명은 고혈압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30대 남성 10명 중 9명은 치료를 받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30대~40대 성인 남성은 건강생활 실천률(금연, 절주, 낮은 나트륨 섭취 등)이 타 연령 대비 가장 저조했다.
30대 남성의 현재흡연율은 54.5%, 40대 남성은 48%로 전체 연령대비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고위험음주율 역시 30대 남성이 23.7%, 40대 남성이 25.9%로 가장 높았다.
특히 혈압을 높이는 주요 요인인 나트륨 과잉섭취율은 30대 남성이 93.5%, 40대 남성이 93.7%로 위험한 수준을 보였다.
고혈압은 다른 질환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단이 간편하고 치료 및 관리가 용이하지만 별다른 증상이 없기 때문에 질환의 중요성 및 심각성을 간과하기 쉽다.
하지만 심혈관계 질환의 가장 흔하고 강력한 위험인자로 관리하지 않으면 뇌졸중, 심근경색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정기적인 혈압측정을 통해 수치를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혈압 환자의 95%는 1차성(본태성) 고혈압으로 환경적인 요인인 짜게 먹는 습관,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 흡연, 과다한 음주 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때문에 식습관, 운동, 금연, 절주 등과 같은 생활 습관을 생활화하면 혈압조절과 합병증 위험을 줄이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