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올해 연간 물가 상승률을 당초 목표 했던 1.8% 유지가 어렵다고 보고 2% 유지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공공요금 인상은 내년으로 분산해 연내에는 최대한 동결한다는 방침을 거듭 밝혔다.
홍남기 부총리는 6일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의 기재부 국정감사에서 "올해 물가 상승률을 몇 퍼센트 정도되면 경제 부담이 없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정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우리 경제의 전체적인 거시적 흐름과 비교하면 올해 2% 수준에서 (유지) 된다면 그렇게 할 수 있지 않을까(생각한다)"라고 답변했다.
홍 부총리는 "지난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을 발표할 때 목표를 1.8%로 했는데 지난 5개월(8월 기준) 동안 2%를 넘는 상황으로 봐서 1.8%는 넘을 것 같다"고 말하며 "2% 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총체적으로 노력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통계청이 이날 내놓은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9월 소비자물가는 2.5% 상승해 6개월 연속 2%대 상승 폭을 이어갔다.
3분기 소비자물가도 2.6%로 2012년 1분기 이후 최대치로 나타났다.
국제유가 등 원료비 상승으로 인한 공공요금 인상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연내 동결하겠다는 정부 입장을 유지했다.
홍 부총리는 "공공요금은 하반기에 동결을 하고 꼭 요인이 있더라도 내년으로 분산이 될 수 있도록 대응을 해 나가겠다"며 "전체적으로 우리나라뿐 아니라 글로벌 경제 전체적으로 물가가 많이 상승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는 G20 국가 중에서 9개 나라에 대해서 물가상승률 예측치를 높게 잡고 있다"며 "우리나라에만 국한된 게 아니지만 글로벌 경제와 관계없이 대내적으로 중요한 사안이기 때문에 정부가 2% 선에서 물가가 잡힐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앞서 OECD는 올해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2.2%로 예상했다. 한국은행도 올해 물가 전망을 1.8%에서 2.1%로 상향한 바 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