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 말 가계 빚이 1844조를 기록하며 또 다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당국의 대출 규제로 전체 가계 빚 증가폭은 전분기 보다 둔화됐지만 집값 상승 기대감으로 주택 매매와 전세 대출 수요가 이어지면서 주택담보 대출은 오히려 증가폭이 확대됐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2021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올 3분기 말 가계신용 잔액은 1844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가계신용은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과 카드사와 백화점 등의 판매신용을 더한 액수다.
3분기 가계 빚은 전분기보다 36조7000억원(2.0%) 늘어 증가폭이 2분기(43조5000억원)보다 축소됐다. 반면 1년 전과 비교하면 163조1000억원(9.7%) 늘어 지난해 3분기(109조원)와 비교해 증가폭이 확대됐다.
초 저금리 기조 속 집값·주가 상승 기대감이 지속되면서 주택 매매와 전세 거래 수요로 가계 빚이 늘었지만, 금융기관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 등으로 증가폭은 축소됐다.
송재창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기타대출은 정책 당국과 금융기관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의 영향을 받아 증가폭이 축소됐다"며 "반면 주택담보 대출은 실수요 성격이 강하고 주택 매매와 전세 거래 관련 자금 수요가 지속되고 집단대출 취급도 확대 되면서 주택 담보 대출이 전 분기보다 더 확대됐다"고 말했다.
가계신용에서 비중이 가장 큰 가계대출은 1744조7000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경신했다. 전분기 보다 37조원(2.2%) 늘면서 2분기(41조원)보다는 증가폭이 둔화됐다. 1년 전과 비교하면 159조원(10.0%) 증가했다.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은 20조8000억원(20.8%) 증가한 969조원을 기록했다. 이는 2016년 4분기 (24조2000억원) 이후 4년 9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이다.
2분기(17조3000억원)와 비교해도 증가폭이 확대됐다. 전년동기 대비로도 78조7000억원(8.8%) 늘면서 2016년 1분기(79조3000억원) 이후 5년 6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아파트 매매와 전세거래 관련 자금 수요가 지속된 영향이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