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대도시이다. 대도시의 일상생활에서 버스는 시민들의 발의 역할을 다하되, 세금을 절약하는 쪽이어야 한다. 대구시가 시민들이 낸 세금으로 보조금을 버스회사에 지불하고 있다. 이는 시민들의 일상생활에 편의를 주기 위함이다. 그러나 일부 버스회사가 이를 악용하는 바람에, 세금이 지속적으로 거덜 나고 있는 지금이다. 이를 원천적으로 방지하지 못한다면, 시민들의 발이 원래의 목적으로 가지 못할뿐더러 세금만 거덜 난다. 시내버스 재정지원금이 해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업계의 방만 경영 의혹을 제기할 것으로 여길만하다. 이에 준공영제 전반에 대해 대구시가 자체감사를 실시했다. 감사결과에 따르면, 준공영제개혁 시민위원회에서 확정한 운송원가 절감방안을 현재 시행 중인 표준운송원가 용역에 반영한다. 더하여 회계감사의 정례화하기로 했다.
시내버스 업체와 버스조합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내버스 재정지원금 집행 실태 전반에 대한 자체 감사(2015. 3.30.~4.17.) 결과를 대구시에 통보했다. 지적사항 전반에 대한 동일 사례 재발 방지를 대책을 세웠다. 여기에서 재발현재 상황을 짚어보면, 운전직 산재보험료 정산방법 부당, 회계 처리기준 미준수, 산재보험료 과다지급, 회차지 사용료 부당지급 등이다. 운송원가 기준과 관련한 대구시 감사 지적사항과 개혁시민위원회에서 시행키로 확정한 운송원가 절감방안은 현재 전문기관에서 진행 중인 표준운송원가 재산정 용역(2015.6.3.~10.2)에 전면 반영키로 조치했다. 조치내용은 차고지 이전에 따른 공차거리 과다산정 부분은 2015년 8월 초 시행 예정인 시내버스 노선 개편 때에 차고지 인근 운행노선을 우선 배정하는‘차고지 우선 배차제’를 도입한다. 회계장부 기장방법 미숙, 신문대금 등 복리후생비 영수증 미부착 등은 회계실무 정기교육 실시 등이다.
대구시가 버스 경영의 투명성을 보다 높이겠다는 시내버스 교통행정의 내용이다. 그러나 버스회사가 회계장부조차 제대로 못한다고 보기 어렵다. 다분히 고의성이 엿보이는 대목으로 의혹을 제기하고 싶을 지경이다. 도시는 교통망으로 촘촘히 짜여 있다. 여기에서 촘촘하다는 것은 세금 거덜 내기에서도 빈틈이 생겨 예산 누수가 없어야한다는 뜻을 함축하고 있다.
대구시가 자체든 전문가 용역이든, 세금을 탕진하는 버스회사에 대해서는 본때를 보여 혼쭐을 보여야 한다. 혼쭐이 없는 대책은 있으나마나다. 대구시는 시민들이 낸 세금을 보다 절약해야한다는 의미까지를 포함해 버스를 운영할 책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