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국보]국보 185호-상지은니묘법연화경..
사회

[국보]국보 185호-상지은니묘법연화경

운영자 기자 입력 2015/07/07 15:44 수정 2015.07.07 15:44

▲    
 묘법연화경은 줄여서 ‘법화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우리나라 천태종의 근본경전으로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 있음을 기본사상으로 하고 있다. 화엄경과 함께 우리나라 불교사상의 확립에 가장 크게 영향을 끼쳤으며, 삼국시대 이래 가장 많이 유통된 불교경전이다.
 이 책은 후진의 구마라습(鳩摩羅什)이 번역한 『묘법연화경』 7권을 고려 공민왕 22년(1373)에 은색 글씨로 정성들여 옮겨 쓴 것이다. 각 권은 병풍처럼 펼쳐서 볼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크기는 세로 31.4㎝, 가로 11.7㎝이다.
 책 끝의 기록에 의하면 당시 봉상대부 허칠청의 시주로 간행했음을 알 수 있다. 뒷면에 ‘영암도갑사유전(靈巖道岬寺留傳)’또는‘당사유전(當司留傳)’이라고 먹으로 쓴 기록이 몇 군데에 보이고 있어 원래 전라남도 영암의 도갑사 소장본이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이 책은 일본으로 유출되었다가 최근에 되찾아온 것으로서 더욱 중요 하게 평가된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