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거대 경제대국이다. 또한 잠재 성장력이 그 어느 나라보다 높은 나라이다. 더하여 지정학적으로도 우리와 이웃이다. 이러한 나라와 경제협력을 체결했다는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 이로써 경북도가 중국과 마찬가지로 경제도시로 성장할 수가 있는 호기를 잡았다. 전체적으로는 경북도가 환동해 시대를 대비한다. 북방진출의 거점을 마련한다. 이를 위해 중국의 지린성과 우호교류협정을 체결했다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지난달 30일에 이인선 경제부지사는 중국 동북 3성의 하나인 지린성(吉林省)을 방문했다. 방문목적은 경제협력 프로젝트 추진 등이다. 우호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이다. 구체적인 합의내용은 경제·물류, 과학기술, 문화관광, 농업 등 다방면에서 교류협력을 추진한다. 상호방문 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민간교류를 지원한다. 공무원 상호파견 등 양 도·성의 교류협력 등이다.
지린성은 우리 정부가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구상과 맞물려 있다.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러시아의 신동방정책이 교차하는 지역이다. 뿐더러 북한의 개방을 이끌어내기 위함이다. 더구나 한국, 중국, 러시아 등 다자간 경제협력이 활발히 추진되는 물류 요충지다. 포스코가 국제물류단지를 조성 중이다. 한·중 FTA 발효에 대비해 중국 정부에서 창춘~두만강~동해를 잇는 창지투(창춘, 지린, 투먼) 개발로 동해 진출을 서두르고 있다. 이인선 부지사는 양국의 환동해 정책을 지방 차원에서 적극 뒷받침하고, 함께 실천해 나갈 것을 주문했다. 또한 지린성에서 주최한 제1회 한·중·일 지방정부 협력회의에서는 최근 국제물류 거점항으로 도약하고 있는 ‘포항 영일만항’을 소개했다. 한·중·일 지방정부가 동북아시대에 발맞춰갈 것을 제안했다. 제2의 북방진출 거점으로 계획하고 있는 연해주와 교류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이는 북방지역 협력네트워크 구축에 박차를 가해 나가는 지름길로 봐야겠다.
경북도는 이번에 중국 지린성과 우호교류협력의 체결은 세계 속의 경북도로 가는 길목이다. 경제대국과 맞먹는 것과 같다. 따라서 경북도도 경제도시가 된 것으로 평가한다. 그러나 체결만으로는 안 되는 측면이 존재한다. 안 되는 측면은 경북도의 경제 외교력의 발휘에 달려있다. 치열한 경쟁에서 승리하려면, 상호간의 경제이해가 맞아떨어져야한다. 경북도는 이제부터 우호교류협력의 주도권과 성과를 거두기 위한 행정력을 발휘할 것을 주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