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은 2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를 ‘봄철 산불조심기간’으로 정했다. ‘중앙산불방지대책본부’를 정부 대전청사 내에 설치하는 등 본격적인 산불방지체제에 돌입했다. 산림 인접지역의 경작지 부산물을 파쇄기로 사전 제거하여, 소각산불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방침이다. 산림청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16년도 전국 산불방지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산불 발생요인을 사전차단하고, 신속한 진화태세 등을 통해 산불 피해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산림청은 2016년도 산불방지 종합대책은 산불 예방·신속한 진화·철저한 사후관리를 통해 산불을 줄이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포항시도 산불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산불 위험지수가 가장 높은 이달부터 4월20일까지 ‘대형 산불 방지 특별대책기간’으로 정했다. 포항시는 산불발생 즉시 불씨를 잡기 위해 3천4백리터 용량의 대형 임차 헬기를 상시 대기시켰다. 신속한 초등진화를 위해서 진화대원 28명을 전진배치 했다. 산림연접 가축 사육장 등 산불 취약지역 457개소와 봄철 산나물채취자 및 산행인구 증가로 입산자 실화가 우려됨에 따라 주요 등산로를 집중적으로 감시한다. 산불 감시원 237명과 부서별 책임 담당구역을 지정해 공무원 360명을 배치했다.
봄철에 발생건수의 50%, 면적의 85%가 집중되고 있다. 원인별로는 입산자 실화 40%, 논·밭두렁 소각 27%, 담뱃불 9%, 성묘객 실화 7%이다. 봄철 산불은 입산자 실화 다음으로 소각산불이 차지한다. 사전차단을 위해 지난 2월 29일까지 일선 읍면동에서 산림 연접지 인화물질 815ha, 영농 부산물 164ton을 사전에 제거 했다. 포항시는 현재까지 단 한건의 산불도 발생하지 않았다. 매년 영농철이 다가오면 병해충을 제거하기 위해서 관행적으로 논·밭두렁을 소각한다. 소각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매년 110여건 산불이 발생한다. 연평균 5명 내외가 사망하는 등 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포항시는 산불발생 위험지수가 가장 높은 시기인 만큼 소각으로 인한 산불을 차단하기 위해 부서별 담당구역을 지정했다. 소속 공무원 360명으로 구성된 기동 순찰반을 편성했다. 불을 낸 자에 대해서는 끝까지 추적 검거해 엄정한 법집행을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위 같은 통계를 보면, 산불의 중요한 원인은 사람이다. 이렇다면, 산불 예방은 시민들과 공조체계를 유지해야한다. 공조로써 만약에 산불이 난다면, 산불 당국에 즉시 신고를 해야 한다. 전 시민들이 산불 감시자가 되어야한다. 당국은 산불 예방과 함께 시민들 스스로가 산불이 나지 않도록 할 책임이 있다. 이리기위해서는 당국은 산불예방에 대한 집중적인 홍보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