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포항시 귀농정책, 농촌 경제 살리기로..
사회

포항시 귀농정책, 농촌 경제 살리기로

운영자 기자 입력 2016/03/24 14:12 수정 2016.03.24 14:12

 

전국귀농운동본부에 따르면, 귀농은 협력적 공유사회 만들기이다. 귀농본부는 올해 ‘귀농! 이제는 운동이다’를 사업 목표로 정했다. 귀농운동은 생태운동, 공동체운동 등이다. 협력적 공유사회란 지역 내 구성원들이 서로 수평적 관계를 맺는다. 자원을 공유하는 사회를 말한다. 무엇보다 청년들이 대상이다. 청년귀농학교를 진행해, 진로탐색의 기회를 제공한다. 귀농이 위 같은 의미를 지녔다면, 단순하게 여길 것이 아니다. 현재의 농촌 실정을 타개함으로써 농촌을 살리자는 운동이다. 도농(都農)이 함께 가자는 운동이다. 포항시는 농촌의 고령화·공동화 및 부녀화로 노동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농촌의 새로운 활력소가 될 도시 청장년을 농촌에 유입하기 위한 귀농·귀촌 업무에 행정력을 발휘하기로 했다. 해병대 전역자와 포스코, 현대 제철 등 철강산업단지의 퇴직자들이 현재 증가하고 있다. 이들이 귀농·귀촌을 통해 제2의 삶을 농촌에서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해나갈 계획이다.

올해 국비사업은 귀농인 농업창업 및 주택자금지원 등이다. 창업자금은 최대 3억 원 규모이다. 주택구입은 최고 5천만 원 한도로 융자(연2%)를 지원한다. 귀농 농업창업계획서 제출일 기준으로 만 65세 이하인 귀농인이 지원 대상자이다. 농가당 5천만 원 이내, 연 1%로 올해는 3개 농가에 1억1천3백만 원을 신청 받는다. 또한 귀농인 정착지원사업에 농가당 4백만 원씩 4개 농가에 1천6백만 원을 지원한다.

포항시 자체사업으로는 귀농인 영농기반조성 사업(총사업비 80백만 원)이다. 포항농업대학에서는 귀농·귀촌 희망자들의 조기 정착을 위해 ‘귀농·귀촌반’ 1년 과정(80명, 2천만 원)과 ‘귀농·귀촌 멘티멘토’ 과정(10농가, 6천만 원) 총 2개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귀농은 현재 농촌이 당면한 문제를 풀기에도 역점을 둬야겠으나, 이보다는 식량주권 지침이 더욱 중요하다. 청년들이 농촌으로 간다는 것은 젊은 피의 수혈(輸血)이다. 포항시의 귀농정책에서 귀농인의 자구노력이 보태질 때부터 우리의 농촌은 도농이 함께 사는 행복도시 포항시가 된다. 농촌 경제의 살리기이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