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조사, 동해연안 전체 암반 62%‘백화현상’
포항을 비롯해 울산시, 영덕군 등 동해 연안 바다사막화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양수산부가 2014년 8월부터 12월까지 동해연안(수심 15m 이내, 422km2)을 대상으로 초분광항공영상 촬영 및 항공레이저 기법 등 첨단 항공영상기법을 활용하여 바다사막화 실태를 조사한 결과다.
14일 해수부에 따르면 동해 연안 전체 암반면적 17,054ha 중 바다사막화가 심각하거나 진행 중인 면적은 10,518ha(62%), 정상은 6,536ha(38%)인 것으로 나타났다.
바다사막화란 지구온난화 등으로 수온이 올라가면서 해조류가 사라지고 산호말 같은 석회조류가 번식하여 암반을 하얗게 뒤덮는 현상으로 연안생태계를 파괴하여 수산생물의 서식지를 감소시킨다.
이번 조사는 해수부가 2009년부터 수산생물의 서식지 복원을 통한 지속가능한 어업 발전을 위해 바다사막화가 진행된 해역에 해조류를 옮겨 심는 바다 숲 조성사업을 추진하며 바다 숲 조성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사막화 현상이 심한 지역은 포항시, 울산시, 영덕군이며 ▲사막화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지역은 속초시, 동해시, 고성군이고 ▲천연해조장이 잘 보존되고 있는 지역은 울릉군, 강릉시, 양양군으로 나타났다.
행정구역별로는 포항시가 암반전체면적 4,507,257ha의 64.094%인 2,888,896ha로 가장심각한 수준이며, 다음으로 울산시가 1,196,619ha의 46.465%, 영덕군 1,441,439의 38.634%
순이다.
해수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해조장 복원이 시급한 강원도 고성군과 경북 영덕군에 올해 바다 숲 조성사업비 중 8억 원을 우선 투입하여 조속히 복원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해수부 방태진 어업자원정책관은 “전국의 바다사막화 진행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올해에도 7월부터 12월까지 남해 연안해역을 대상으로 초분광항공영상을 활용하여 모니터링 할 계획”이라며, “우리 연안이 풍요로운 어장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조사 결과를 토대로 매년 350여억 원을 투입하여 2030년까지 전국 연안에 54,000ha의 바다 숲을 조성하겠다.”라고 밝혔다. 신상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