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층이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246개 환경·소비자·여성단체 전문 NGO 네트워크인 에너지시민연대가 실시한 '2015년 여름철 빈곤층 에너지 주거환경 실태조사(3차년도)'에 따르면, 조사대상 160명 중 60%에 달하는 인원이 온열질환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중 60%가 폭염으로 인한 대표적인 온열질환인 어지럼증을 호소했으며, 41%가 두통을 앓았다고 답했다.
또한 14%가 폭염으로 인해 호흡곤란을 앓는 등 위험수위에 이르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높은 기온을 견디지 못하고 실신한 경험이 있는 경우도 6%나 달했다.
이번 조사는 에너지시민연대 전국 네트워크 중 서울, 광주, 대전, 경기, 강원, 충남, 경북, 경남 지역의 8개 단체가 빈곤층 총 160가구를 직접 방문해 설문조사 및 현장 조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조사대상의 80%가 60세 이상의 노인이었으며, 이 중 63%가 독거가구였다. 사회복지상황으로는 국민기초생활보장가구가 58%, 차상위계층가구 11%, 장애인가구 8% 등이었다.
또한 1990년 전에 지어진 노후건물이 83%에 달했으며, 가구 내 실내온도는 평균 27.8도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의 주택유형은 42%가 단독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더위를 극복하기 위한 주냉방시설로는 선풍기가 86%로 많았고, 에어컨은 8%에 그쳤다. 부채만으로 여름을 난다는 가구도 2%를 차지했다.
특히 조사대상 가구 다수가 에너지복지정책을 모르는 경우가 많았다.
정부의 대표적인 에너지복지정책인 단전유예정책의 경우 82%의 가구가 정책이 있다는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었다. 단전유예정책은 전기요금을 내지 못하는 가구의 전기를 완전히 끊지 않고 최소량을 공급하는 제도를 말한다.
또한 전기요금할인 정책을 모르는 가구는 27%나 됐으며, 폭염에 대처하기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시행중인 무더위 쉼터 운영을 모른다고 대답한 가구는 66%나 됐다.
더불어 단전유예 운영의 수혜여부를 묻는 질문에 수혜를 받고 있다고 답한 사람은 단 8%에 불과했다. 또한, 올 겨울부터 시행되는 에너지 바우처 제도에 대해서는 71%에 달하는 가구가 알지 못하여, 46명에 해당하는 28%만에 제도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다.
에너지시민연대 관계자는 "에너지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혹서기, 혹한기에 대한 실태조사와 지원 사업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