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원장 지훈상)은 김민영 교수팀이 타가 제대혈 줄기세포를 주사해 제대혈로만으로도 뇌성마비를 치료하는데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또 시계 최초로 치료의 기전을 밝히는데도 성공했다.
김 교수팀은 이번 연구에서 총 36명의 뇌성마비 환아를 대상으로 적혈구 생성인자 없이 제대혈만으로 치료를 진행, 그 결과 운동기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또 염증과 면역 관련 연구를 실시한 결과 제대혈 치료 뒤에 뇌실 주위의 뇌 영역에서 염증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선천성 면역반응의 증가 정도가 운동 능력의 향상 증가 정도와 비례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 뇌성마비 치료 기전도 밝혀냈다.
기존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치료 시 운동기능 향상만으로 치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뇌성마비의 제대혈 치료에 의한 운동기능의 향상이 전신적인 선천성 면역반응의 증가와 뇌 내 항염증 효과 때문이라는 것을 밝혀 낸 것이다.
앞서 김 교수팀은 지난 2012년 타가 제대혈로 뇌성마비 치료 시 적혈구 생성인자와 제대혈을 함께 사용해 치료하고, 뇌성마비 환아들의 운동 기능 향상을 밝혀낸 바 있다.
김 교수는 "뇌성마비를 위한 제대혈 치료 효과는 지난 연구를 통해서도 알 수 있었고, 그간 국내외로 보고돼 왔으나 아직까지 인체에서 어떤 기전으로 치료 효과를 내는 것인지 밝혀지지 않은 상태"라며 "이번 연구가 줄기세포 치료에 있어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향후 더 효과적인 세포 치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 교수팀은 현재 보건복지부에서 지원받아 진행하고 있는 뇌성마비의 제대혈 치료에 대한 최종임상시험 결과를 확인해 신의료기술로서 향후 뇌성마비 환아들에게 치료적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Stem Cells and Development 최신호에 게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