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사설]원해연 경주유치, 대경권 힘 모은다..
사회

[사설]원해연 경주유치, 대경권 힘 모은다

운영자 기자 입력 2015/08/03 15:00 수정 2015.08.03 15:00

 원자력은 보다 값이 싼 에너지를 대량으로 생산한다. 이 같은 에너지는 산업에서는 쌀과 같다. 그러나 원자력은 수명이 있다. 수명을 다하면, 해체라는 절차를 거친다. 원자력 해체는 처음에 만들 때보다 더 어려운 기술력이 요구된다. 현재 원자력은 경주 지역에 밀집된 상태이다. 사정이 이러하다면, 원자력의 해체기술도 경주시가 마땅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여론이다. 위 같은 여론에 따라 대구시와 경북권이 힘을 모으기로 했다. 원자력해체기술연구센터(이하 원해연) 경주유치에 대경권이 행정력을 다하기로 했다. 경주시는 지난 4월 29일에 포항시와 대경권내 포스텍 등 산·학·연·관 17개 기관과 상호 업무를 협력했다. 이어 대구시와도 원해연 경주유치에 공동 협력하기로 하고, 경북도·대구시와 상호 업무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3개 기관의 협력은 원해연 경주 유치가 공동협력·국가 미래 에너지정책·원자력 관련 연구개발 사업·원자력안전 및 에너지절약 캠페인·국가 에너지 정책 발전사업 등에 협력체계의 구축으로 평가한다. 경북도는 2012년부터 경주시와 함께 미래부의 ‘원전제염·해체 원천기술개발 사업’에 참여했다. 지난해부터 한전 KPS,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국전력기술, 두산중공업 등 국내 원자력산업의 주요 핵심기관과의 양해각서를 이미 체결했다. 원해연을 지역에 유치하고자 지난해 8월 원해연 유치 추진단을 구성했다. 중앙정부에 지속적인 유치 의향을 전달했다.
대구시도 국가 원전 정책의 효율적인 발전을 위해 원전시설이 밀집된 경북 경주에 원해연이 유치되어야 한다는 공동인식을 함께했다. 특히 대구시가 추진하고 있는 첨단로봇산업진흥은 원전의 원격해체기술 확보와도 연관성이 높다. 이런 차원에서 이미 지난 7월에 정부공모사업인 ‘공공기관 연계 지역산업 육성사업’에 대구, 경북이 공동으로 참여했다. 앞으로 두 지역에서 에너지 분야의 긴밀한 광역협력체계가 대경권 동반발전을 이끄는 견인차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경권의 원해연의 유치의 논리와 합리성이 충분하다. 이제 남은 것은 정부의 결단이다. 결단함에 있어, 대경권이 주장하는 것을 정부의 결단에서, 아주 중요한 것들이다. 원자력 ‘경주 밀집’, ‘포항시의 포스텍’, ‘대구시의 로봇진흥’ 등은 원자력 해체에 필요·충분조건이다. 정부는 원해연 유치지역의 결정을 지체할수록 여론만 나쁜 쪽으로 갈 것이 너무나도 뻔한 사실이다. 원해연 대경권 유치에서 정부의 빠른 결단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