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그동안 기업하기 좋은 지역으로 만들기 위해 지속적으로 온 행정력을 다해왔다. 더구나 ‘외국기업의 투자유치’에서 어느 지역보다 보다 좋은 공단 만들기에도 노력을 다한 결과로 일본 도레이 BSF사가 경북도에 현재까지 3,525억 원의 투자를 완료했다. 일본 도레이 BSF사가 경북도에 투자한 결과, 좋은 성과를 거둠에 따라 다시 418억 원을 추가로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일본 도레이 BSF사는 도레이 자회사로 2차 전지 BSF(배터리 양극 음극 분리막용 필름)를 제조하는 세계 굴지의 회사이다. 전기자동차, 휴대폰 등 리튬이온 배터리 내부에서 기능을 하는 필름을 생산한다. 경북도에 따르면, 일본 도레이 BSF(도레이 배터리 세퍼레이터 필름)사가 2016년까지 추가로 3천 8백만 불(418억 원)을 투자한다. 또한 앞으로도 지속적 투자를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일본 도레이사가 해외투자 지역으로 경북도를 택한 까닭은 경북도가 그만큼 기업하기 좋은 도시로써 정평이 났기 때문이다. 이 같은 정평은 기업의 이윤창출에서도 명성이 났다는 것과 동일한 뜻을 지닌다.
지난 4일 도레이사 이노우에 오사무(井上 治) 대표이사가 김관용 경북도지사를 예방했다. 이 자리에서 그동안 경북도의 적극적 지원과 협력에 감사를 표시하면서, 재투자를 제안했다. 경북도 김관용 지사는 양국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구미시투자에 감사한다. 도레이사의 구미 투자는 한·일 경제협력의 모범사례가 될 것이다. 경북도는 기업의 입장에서 도레이사의 애로사항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도레이 BSF는 2008년 7월에 경북도와 구미시간 3억 2천 5백만 불(3,525억 원) 투자 MOU를 체결했다. 구미4국가산업단지에 입주(229천㎡)하여, 올해 7월까지 투자를 완료했다. 같은 부지에 추가로 2016년까지 3천 8백만 불을 투자한다. 이러면, 현재 190명의 고용창출 외에 80명의 인력을 더 늘려나갈 예정이다. 동사(同社)의 생산품은 이차전지 4대 핵심소재 중의 하나인 분리막 필름이다. 한국의 이차전지와 전기자동차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경북도에는 94개의 외국기업이 진출해 있다. 그 중 일본 기업이 38개사로 40%를 차지한다. 도레이 BSF 코리아는 2006년 6월에 설립했다. 2014년도 기준 9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는 등 성공적인 기업 활동을 펼쳐왔다. 해외 기업이 경북도에서 성공하여, 이윤을 창출하려면 경북도의 행정력이다. 이때의 행정력은 ‘해외 기업 맞춤형’으로 가야한다. 기업마다 다른 특성을 행정력으로 살려줘야 한다. 더군다나 해외기업은 더욱 맞춤형으로 가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