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응급실의 의사가 실시간으로 환자 영상을 보며 현장 응급처치를 지도하는 스마트 의료지도 시범사업을 연말까지 실시한다고 5일 밝혔다
7개 권역 9개 응급의료센터에서 140여명의 의사와 19개 소방관서에서 780여명의 구급대원이 참여한다.
시범사업은 구급대원이 카메라·헤드폰 등을 웨어러블(착용형) 형태로 구성한 장비와 스마트폰을 통해 현장 상황을 응급의료기관 의사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면, 해당의사가 스마트폰 등을 통해 현장부터 이송시까지 지속적으로 지켜보며 전문적인 의료지도를 실시하는 것이다.
현재 119구급대원 등 응급구조사는 응급처치 시 간단한 술기 외에 투약, 기도삽관 등의 조치는 반드시 의사의 구체적인 지시에 따르도록 관련 법령에 규정돼 있다.
그러나 유무선 음성통화 등 한정된 장비를 통해 지도를 받아 신속한 현장대응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복지부 관계자는 "기존의 빠른 도착, 빠른 이송 위주의 119구급대 역할에도 변화가 생기고 현장단계부터 적극적 응급처치를 통해 심정지 등 응급환자의 생존율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복지부는 이번 시범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병원전 응급의료체계를 지속적으로 개선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