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은 우리와 이웃 간에 있는 글로벌 경제대국이다. 이런 중국 유학생을 유치한다는 것은 학문뿐만이 아니라 우리의 경제발전에도 큰 도움이 된다. 유치가 성공할수록 지역의 발전도 성공을 거둘 수가 있다. 이 모두를 위해 대구시가 나섰다.
대구시는 지역 대학들과 공동 협력하여, 중국 상덕시 정부와 학교 관계자를 초청하는 등 중국 유학생 유치 확대를 위한 홍보에 적극 나섰다. 최근 유학생이 감소하고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유학생의 5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 유학생 유치를 확대할 목적으로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2박 3일 동안 중국 상덕시 부시장, 정부관계자, 사천성, 청도시, 상덕시, 사천성, 청도시, 흑룡강성, 강소성 등 학교 관계자를 초청하여, 대구 투어와 대학탐방을 진행했다.
이번 행사의 목적은 지역대학의 글로벌 교육역량을 강화이다. 또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함이다. 대구시가 지역의 대학들과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유학생 유치에 경쟁력을 가진 경북대학교, 계명대학교, 영진전문대 등 3개 대학 등이 참여했다.
교육부 통계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를 찾는 유학생 수는 2011년 89,537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계속 감소했다. 이후부터 2014년에는 84,891명으로 5,000여 명 줄었다. 특히 2011년 당시 국내 유학생의 70%인 59,317명이던 중국 유학생들이 미국이나 유럽, 일본 등지로 눈길을 돌렸다. 지난해 전체 유학생의 59.3%인 50,336명으로 눈에 띄게 준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이 미국이나 유럽과 일본으로 가는 것을 우리나라로 오게 하기 위해서는 우선 우리나라의 학문 수준을 보다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취업률도 보다 높여야 한다.
그다음에는 유학생들의 학자금 대출이다. 더구나 외국에서 공부할 때에 만약에 일어날 수가 있는 사고에 대비한 보험이다. 이 같은 것이 모두 갖추어질 때에, 중국 등 외국 유학생들은 다시 우리나라로 눈길을 돌릴 것으로 내다본다. 이보다 중요한 것은 우리와 공동체 형성이다. ‘학자금대출, 보험, 취업률, 공동체형성’이 잘 구성되어여만 한다. 지금의 중국 유학생들은 미래에 한국과의 외교가이다. 중국 유학생 유치는 우리와 외교할 때에 디딤돌 역할을 다한다.
이승대 교육청소년정책관은“우리나라의 학령인구는 줄어들고 있다. 하지만 세계 유학시장은 증가하는 추세라며 유학생 유치는 상생 발전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상생발전은 위에서 짚은 것들이 보다 잘 구성이 되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