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란 높은 교양과 깊은 지식 또는 세련된 아름다움이나 우아함을 예술풍의 요소와 관계된 일체의 생활양식을 일반적으로 뜻한다. 그러나 우리는 지금까지 근현대사의 압축된 경제 성장을 거치면서 어느 정도로 수준이 높은 문화향수가 경제발전을 하기 위해 뒷전으로 밀린 측면이 있음도 부정할 수가 없었다. 이제 살만큼 살다보니, 문화향수에 갈증을 느끼게 되었다. 이 대목에서 중요한 것은 ‘경제발전과 문화향수’는 다 같은 걸음으로 가야한다는 것이다. 포항시가 이제부터 문화와 경제를 묶어, 문화·경제를 함께 가는 호기를 잡았다. 포항시가 ‘2016년도 문화도시(문화특화지역) 조성’ 시범사업지로 선정됐다.
문화도시 지정 시범사업 기간은 5년이다. 예산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총 37억 5천만 원(국비 15억, 도비 6억 7천만 원, 시비 15억 8천만 원)이다. 사업내용은 시설 건립과 같은 하드웨어 중심이 아닌, ‘사람 중심’의 휴먼웨어 사업과 소프트웨어 사업으로 나뉜다. 휴먼웨어 사업은 시민 소통관계형성을 위한 문화인력 거버넌스의 구축이다. 지역 문화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문화·예술의 일자리를 창출한다. 소프트웨어 사업은 포항 브랜드 공연 창작 등 포항의 특화된 자원 활용 문화콘텐츠와 문화시민의 육성이다. 문화아카데미 프로그램, 시민공모제안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하드웨어 사업은 문화도시 조성 사업 플랫폼 구축이다. 구도심 재생을 위한 문화예술거리 기반조성 사업 등을 추진한다. 하드웨어 사업은 문화도시 조성 사업 플랫폼의 구축이다. 또 구도심 재생을 위한 문화·예술거리의 기반을 조성한다.
‘문화도시 포항’ 조성 사업은 2016년 양덕동 생활문화센터 준공, 구룡포 바다예술공장 조성계획, 포항스틸아트페스티벌, 칠포재즈페스티벌, 포항바다국제연극제, 포항 맑은 단편영화제, 연오랑세오녀 브랜드 공연 창작, 겸재 정선, 내연산 소재 3D 애니메이션 창작 등의 각종 문화콘텐츠를 발굴한다. 이 같은 사업을 문화도시 조성 사업과 연계·추진하여, 창조도시 포항 건설을 한층 앞당길 방침이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시민이 주체가 되어 만들어가는 문화도시를 조성한다. 나아가 창조도시 포항이 실현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사람중심 문화향수도시 창조’는 행정력도 필요하지만, 시민들이 앞장을 서야한다. 시민들이 앞장을 서지 않는다면, 사람중심 창조도시에서 ‘사람이 없는 것’이 되고 만다. 포항시의 행정은 ‘문화향수와 경제발전’에서 말 그대로 시민들이 중심이 되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