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성폐기물처리장은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한 방사성 물질이 함유된 갖가지 폐기물을 관리하고 처리하는 곳이다. 따라서 방폐장은 향후부터 무엇보다 안전한 관리가 준공식보다 더 중요하다. 그동안 방폐장 건립을 두고, 건립에 많은 난관을 겪었다. 난관을 겪는 기간이 무려 30년의 세월이 흘렀다.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경주 방폐장에서 김관용 경북도 도지사, 황교안 국무총리, 최양식 경주시장, 정수성 국회의원, 관련 유관 기관장과 지역주민 등 1,000여명이 참석하여, 30년 정부 숙원사업이었던 방폐장 준공식을 개최했다.
지난해 12월 11일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사용승인 허가를 받았다. 경주 방폐장은 올해 7월 13일 최초로 16드럼의 방폐물을 처분했다.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경과과정을 살펴보면, 방폐장은 지난 1986년 정부 방폐장 부지선정 작업 시작 후 아홉 차례에 걸쳐 후보지를 공모했다. 그러나 모두 실패했다. 유치지역지원특별법을 공포(’15.3.31)했다. 4개 시·군(경주, 군산, 영덕, 포항) 주민투표에 의해 가장 높은 지지율을 보였던 경주가 최종 방폐장 부지로 최종확정(‘05.11.2)됐다. 방폐장은 전체규모 80만 드럼이 목표이다. 이번 1단계 처분시설은 총사업비 1조 5,436억 원을 투입했다. 10만 드럼 규모의 동굴처분 방식으로 건설됐다. 2단계 공사는 12.5만 드럼 규모이다. 현재 환경영향평가와 주민 공청회까지 추진된 상황이다.
이날 황교안 국무총리는 방폐장 부지확보사업은 주민투표와 경주지역 주민들의 협조와 양보를 거쳐 민주적인 방식으로 해결한 모범사례이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경북도 내 원전(예정) 지역인 울진, 영덕은 정부 에너지정책을 따라 주었다. 하지만 최근 영덕 신규원전 추진에 대한 반대여론에 대해서는 중앙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원자력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 제2원자력연구원, 방폐장 유치지역 지원사업 우선 추진 등을 건의했다. 대한민국 원자력의 미래를 책임지고 있는 경북도가 동해안 원자력클러스터 조성사업의 시너지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정부가 정책적으로 배려해 줄 것을 건의했다.
안전관리가 아주 중요한 대목이라면, 듣기에 따라 모두가 일부에서 덕담 수준에 그친 감을 지울 수가 없는 것들도 없지가 않다고 여긴다. 문제의 근본은 방폐장의 안전한 관리이다.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본다. 원자력 에너지는 가장 경제적이다. 또한 깨끗하다. 이렇다고 할망정 주민설득은 안전에 역점을 둬야 한다. 정부와 경북도는 이점을 보다 유념하면서 추진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