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사법리스크'의 분수령인 11월이 다가오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이 이 대표의 리더십을 사수하는 데 더욱 집중하는 분위기다.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 혐의 1심 선고공판은 다음 달 15일, 위증교사 혐의 1심 선고공판은 같은 달 25일에 열린다.
검찰은 두 혐의에 각각 징역 2년과 3년을 구형했다.
피선거권이 박탈되지 않을 정도의 유죄가 확정돼도 이 대표에게 정치적 타격이 크다는 전망이 나오지만, 민주당은 무죄를 자신하는 분위기다.
김민석 최고위원은 지난 11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허위사실 공표 혐의에 대해 "미국 배심원 재판이었다면 불공정 기소로 판단돼 '적법절차 파괴'로 결론 났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치권에서는 이 같은 메시지는 '사법리스크'를 최소화하려는 일종의 여론전이라는 시각이 있다.
법리로만 다투면 무죄가 선고될 것으로 확신하는 만큼 이 대표의 결백함을 주장함으로써 '정치 판결'의 가능성을 차단하려는 의도라는 것이다.
친명(친이재명)계 의원 모임인 '더 여민 포럼'도 잇달아 토론회를 열어 여론전을 지원한다.
'더 여민 포럼'은 오는 16일 '공직선거법상 당선목적 허위사실 공표죄에 대한 검토', 22일 '위증교사죄의 성립 요건'을 주제로 각각 토론회를 열어 이 대표에 대한 수사가 부당함을 주장할 것으로 보인다.
유죄가 선고된다고 하더라도 총선 이후 당이 친명 체제를 확실하게 다진 만큼 이 대표의 리더십은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는 자신감으로 보인다.
최근 친명계 좌장 격인 정성호 의원은 언론 인터뷰에서 "당내 상황이나, 당 지지자, 국민 여론을 보면 어떤 결과가 나오든 이 대표의 당내 리더십이 흔들릴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다. 김상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