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정구청장 등 2곳 사수
“국민의 뜻대로 정부·여당
변화와 쇄신을 이끌겠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 출근하고 있다. 뉴시스
|
10·16 재보궐 선거에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보수세가 강한 정치적 텃밭 2곳을 사수하는 데 성공했다.
더불어민주당도 호남 2곳에서 승리하며, 한 대표와 이재명 대표 간 ‘리턴 매치’ 결과는 무승부로 끝났다.
정치권에서는 국민의힘이 금정구청장과 강화군수 보궐선거에서 승리하면서 한 대표가 리더십을 강화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민주당도 전남 곡성·영광군수 재선거에서 모두 이겨 지난 총선 때 불거졌던 호남의 ‘이재명 비토론’을 잠재울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한 대표는 개표 윤곽이 드러난 직후 자신의 SNS에 “국민의 뜻대로 정부·여당의 변화와 쇄신을 이끌겠다”고 밝혔고, 이 대표는 “이번 재보궐선거의 민심을 받들어 정권의 퇴행을 막고 국민의 삶을 지키는 데 더욱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이번 재·보선은 ‘미니 선거’였지만 ‘한동훈·이재명·조국’ 등 교섭단체 당 대표가 진두지휘에 나서면서 판이 커졌다. 그러나 이변 없이 거대 양당이 각각 텃밭 수성에 성공하면서 한 대표와 이 대표의 입지는 당분간 흔들림 없게 됐고, 조국 대표로선 첫 지역구 선거에서 완패를 당해 리더십에 상처를 받게 됐다.
17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금정구청장 보궐선거에서 국민의힘 윤일현 후보(5만4650표·61.03%)가 야권 단일 후보로 나선 민주당 김경지 후보(3만4887표·38.96%)를, 오차범위를 훨씬 넘어선 22.3%로 차이로 꺾었다.
강화군수 보궐선거에서도 국민의힘 박용철 후보(1만8576표·50.97%)가 민주당 한연희 후보(1만5351표·42.12%)에게 8.8%로 앞서며 승리했다. 애초 보수 지지층이 강한 지역으로 분류된 부산 금정과 인천 강화이지만, ‘김건희-명태균’ 리스크 등 여러 가지 악재가 쓰나미처럼 몰려와 박빙 승부가 예상됐다.
친한(친한동훈)계는 승리 요인으로 한 대표가 선거 기간 이어진 김건희 여사 리스크 등 악재 속에서 윤석열 대통령과의 차별화를 택한 것이 주효했다고 꼽고있다.
국민의힘 당직자는 "한 대표가 김건희 여사 이슈에 대해 적극적인 조치를 대통령실에 공개 촉구하는 등 막판 선거 전략이 주효했고, 명태균 씨 문자 공개 등으로 지지층의 위기의식이 발동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같이 국민의힘이 텃밭 수성에 성공하면서 한 대표의 목소리에도 힘이 실린 모습이다.
한 대표는 이날 김 여사의 대외활동 중단과 김 여사 관련 인맥으로 지목된 대통령실 참모들의 인적 쇄신을 공개적으로 요구했다. 아울러 김 여사가 자신을 둘러싼 의혹들을 국민에게 진솔하게 설명하고, 의혹규명을 위한 관련 절차에 협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당내 리더십을 확인한 한 대표가 위기의 여권을 전면 쇄신하기 위한 고강도 드라이브를 걸은 모습이다.
한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쇄신하고 변화하라는 것이 이번 선거에서 국민의 명령"이라며 "국민의 걱정과 우려를 이번에 반드시 해소해야 한다"고 이같이 밝혔다. 이어 "김 여사 관련 일들로 모든 정치 이슈가 덮이는 일이 반복되면서 우리 정부의 개혁 추진이 국민의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며 "야당의 무리한 정치 공세도 있지만, 그간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행동도 있었고, 의혹의 단초를 제공하고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해서 민심이 극도로 나빠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여사와 관련해 ‘인적 쇄신, 대외활동 중단, 의혹규명 협조’ 등 세 가지 사항이 실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한 대표는 "김 여사 관련 대통령실 인적 쇄신이 반드시, 시급하게 필요하다"며 "인적 쇄신은 어떤 잘못에 대응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좋은 정치, 민심을 위한 정치를 위해 필요한 때 과감히 하는 것이다. 지금이 그럴 때"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여사가 대선 당시 약속한 대로 대외 활동을 중단해야 한다. 제기되는 의혹에 대해 솔직하게 설명하고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필요한 절차가 있다면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 대표의 이 같은 고강도 발언은 다음 주초 윤 대통령과의 독대를 앞두고 ‘국민의 뜻’이라며 김 여사 문제 해결 요구라는 청구서를 내밀 명분을 확보한 것으로 읽힌다.
현재 대통령실은 ‘김 여사 라인’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정면 반박하고 있는 입장이다. 김상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