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尹 대통령 지지율, TK 14%p 상승 37%..
정치

尹 대통령 지지율, TK 14%p 상승 37%

김상태 기자 gbnews8181@naver.com 입력 2024/11/17 16:08 수정 2024.11.17 16:08
전주 보다 3%p↑ 20%
‘정국 반전’ 노리는 당정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이 전화 면접(CATI) 조사에서 전주 대비 3%p(포인트) 반등한 20%로 나타났다.
또 10%대까지 내려갔던 대구·경북(TK) 지지율이 14%p 상승하며 37%로 반등했다.
윤 대통령의 대국민담화에 지지층이 호응한 결과로 보인다.
한국갤럽이 지난 12~14일 3일간 전국 만 18세 이상 1002명을 대상으로 윤 대통령 직무수행 평가를 조사한 결과 '잘하고 있다'가 20%, '잘못하고 있다'가 71%로 집계됐다.
지난 9월 4주차에 23%를 기록한 이후에 10월 5주차 19%로 10%대에 진입 후, 11월 1주차 17%로 최저치를 기록했으나 3%p 반등하며 20%로 집계됐다.
여론조사 관계자는 "지난 7일 윤 대통령의 대국민담화·기자회견에 기존 지지층 일부가 주목 호응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권역별 지지율은 보수의 텃밭 TK에서 전주(23%) 대비 14%포인트 오른 37%를 기록했다. 2주 전(18%)에 대비해선 19%포인트 올랐다.
다만, 부산·울산·경남(PK) 지지율은 7%포인트 하락한 21%로 나타났다.
수도권의 경우 서울 지지율은 18%, 인천·경기는 5%포인트 오른 19%를 기록했다. 대전·세종·충청 지지율은 17%로 나왔다.
연령대별로는 고령층 지지율 상승이 관찰됐다.
70대 이상 지지율은 전주 대비 10%p 오른 44%를 기록했고, 60대 지지율은 4%p 오른 27%, 50대는 5%p 오른 20%였다.
특히 국민의힘 지지층에서의 윤 대통령 지지율이 전주보다 9%포인트 오른 56%로, 4주 만에 과반을 회복했다.
보수층 내 지지율도 6%포인트 오른 40%였다. 다만, 무당층과 이념 중도층 지지율은 12%였다.
윤 대통령 긍정 평가 이유는 '외교'가 전주보다 5%포인트 늘어난 28%를 차지했다.
외교 이외에는 '최선을 다한다', '결단력' 등이 6%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의 응답률은 12.2%,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윤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가 오르자 여당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1심 선고를 정국 반전의 계기로 삼고, 보수층은 물론 중도층의 지지를 다시 흡수하기 위해 반등을 모색하고 있다.
아울러 그동안 거대 야당이 김건희 여사 의혹 등을 고리로 특검과 탄핵 공세를 펼치는데 대해 수세적 입장이었으나, 이 대표의 징역형 집행유예 선고를 계기로 야당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와 함께 친윤(친윤석열)계와 친한(친한동훈)계간 내부 갈등도 자제하며, 쇄신에도 박차를 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17일 국민의힘은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1심 유죄 판결로 민주당을 향한 공세 수위를 한껏 끌어올렸다.
정치권의 예상을 웃돈 형량(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이 선고되면서,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에 대한 여론의 주의가 환기됐고 도덕성이 크게 타격을 입었다는 판단에서다.
또 이 대표의 위증교사 사건 1심 선고가 오는 25일 예정된 가운데 대장동·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 불법 대북 송금 의혹, 성남FC 불법 후원 의혹 등 재판이 진행 중인 이 대표의 다른 혐의들도 부각해 수세 국면을 반전할 계기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이와 더불어 민주당이 이 대표의 유죄 판결 이후 윤 대통령을 향한 탄핵 공세도 더 거세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국민의힘 핵심 관계자는 “민주당이 이 대표의 재판 결과를 승복하지 않은 가운데, 사법부를 향한 겁박으로 여야가 '강 대 강'으로 맞붙을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국민의힘은 이 대표 선고 이튿날 민주당이 또다시 장외집회를 연 것을 두고도 '판결 불복'이자 '판사 겁박'으로 규정하며 항소심이 신속하게 진행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동훈 대표는 전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위증교사 재판을 앞둔 이 대표를 향해 "담당 판사를 겁박하는 최악의 양형 사유가 계속 쌓여가고 있다"며 '법정구속 가능성'도 거론했다.
아울러 국민의힘은 이 대표가 선고받은 당선무효형이 확정될 경우, 대선 보전금 434억원도 반환해야 한다고 압박하고 있다.
당 법률자문위원장인 주진우 의원은 이달 중 당선무효형 확정 전 가압류 등을 통해 선제적으로 회수해야 할 선거자금을 보전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할 계획이다.
국민의힘은 또 이 대표가 위증교사 사건 1심에서도 중형을 선고받을 경우 민주당의 혼란이 커질 것으로 보고 당의 전열을 정비하는 한편, 지지율 반등도 모색할 계획이다.
앞서 '김건희 여사 특검법' 반대를 당론으로 정한 원내지도부는 윤 대통령의 재의요구권 행사 이후 28일로 예상되는 재표결에서도 이탈표를 최소화할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또 당 지지율 반등을 위해 특별감찰관 추진으로 '쇄신' 이미지를 구축하고, 중·수·청(중도·수도권·청년)을 공략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친한(친한동훈)계 의원은 "한 대표의 제안으로 특별감찰관 임명 추진이 당론으로 채택된 시점에 이 대표의 판결이 나오면서 극적인 대비 효과가 생겼다"며 "한 대표의 활동 공간이 한층 넓어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상태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