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체론 49.2% 3주 연속 ‘박빙’
범보수 적합도, 김문수 25.1% 1위
국민의힘 42.8 민주당 40.8%
차기 대선 집권세력 국민 선호도 조사에서 ‘여당 정권 연장’과 ‘야권 정권 교체’가, 전주 대비 큰 변동을 보이지 않으며 3주 연속 오차범위 내 박빙을 이어갔다. 또 정당 지지율은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2주째 오차범위 내 접전 양상을 보였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6, 7일 이틀간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1,897명에게 통화를 시도해 최종 1,002명이 응답을 완료한 차기 대선 집권세력 선호도 조사에서, ‘야권에 의한 정권 교체’ 의견이 0.1%P 소폭 상승한 49.2%로 나타났다.
반면, ‘집권 여당의 정권 연장’은 0.8%P 하락한 45.2%를 기록했다.
두 의견 간 차이는 4.0%(P)포인트로 3주째 오차범위(±3.1%P) 내 차이를 보였다. '잘 모름’은 5.6%였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보수지지세가 높은 대구/경북(정권연장 65.1% vs 정권교체 28.7%)과 부산/울산/경남(51.5% vs 43.2%)에서는 정권연장론이 강했다.
반면, 호남권(22.5% vs 69.3%)과 충청권(43.6% vs 56.4%), 서울(43.5% vs 51.1%)에서는 정권교체론이 우세했다.
다만, 인천/경기(46.3% vs 47.4%)에서는 두 의견 차이는 크지 않았다.
연령대별로 보면, 70세 이상(정권연장 57.8% vs 정권교체 33.5%), 20대(52.9% vs 38.8%)에서 정권연장 의견이 우세했고, 40대(30.3% vs 66.8%)와 50대(40.5% vs 57.1%)에서는 정권교체론이 우세했다.
지지정당별로 국민의힘 지지층 내에서의 91.7%가 정권연장론에, 민주당 지지층 내에서의 93.2%는 정권교체론이 매우 강했다. 다만, 무당층에서는 정권연장(31.3%)보다 정권교체(41.3%) 의견이 더 많았다. 정권 연장론 응답자 특성 변화는 권역별 대전·세종·충청(13.7%P↓, 57.3%→43.6%), 서울(4.1%P↓, 47.6%→43.5%), 부산·울산·경남(2.0%P↓, 53.5%→51.5%), 대구·경북(1.9%P↓, 67.0%→65.1%), 인천·경기(5.5%P↑, 40.8%→46.3%)에서 하락했고, 광주·전라(4.8%P↑, 17.7%→22.5%)는 상승했다.
성별로 여성(1.4%P↓, 44.8%→43.4%)에서 하락했다. 연령대별로 60대(11.4%P↓, 60.5%→49.1%), 40대(4.4%P↓, 34.7%→30.3%)에서 하락했고, 20대(4.8%P↑, 48.1%→52.9%), 30대(3.4%P↑, 40.7%→44.1%), 50대(2.9%P↑, 37.6%→40.5%), 70대 이상(1.0%P↑, 56.8%→57.8%)는 상승했다.
이념성향별로 중도층(6.8%P↓, 44.8%→38.0%)에서 하락했고, 보수층(6.1%P↑, 73.8%→79.9%), 진보층(5.5%P↑, 11.3%→16.8%)에서는 상승했다. 직업별로 무직/은퇴/기타(6.0%P↓, 55.6%→49.6%), 판매/생산/노무/서비스직(3.6%P↓, 51.9%→48.3%), 농림어업(3.4%P↓, 49.8%→46.4%)에서 하락했고, 학생(6.6%P↑, 45.9%→52.5%), 사무/기술/관리직(1.9%P↑, 34.6%→36.5%)에서는 상승했다.
정권 교체론 응답자 특성은 대전·세종·충청(16.6%P↑, 39.8%→56.4%), 부산·울산·경남(2.5%P↑, 40.7%→43.2%), 서울(2.0%P↑, 49.1%→51.1%)에서 상승했고, 인천·경기(7.3%P↓, 54.7%→47.4%), 광주·전라(6.9%P↓, 76.2%→69.3%)에서는 하락했다. 연령대별로 60대(10.7%P↑, 34.0%→44.7%), 40대(5.3%P↑, 61.5%→66.8%)에서 상승했고, 20대(8.8%P↓, 47.6%→38.8%), 30대(5.5%P↓, 55.3%→49.8%), 70대 이상(4.6%P↓, 38.1%→33.5%)에서는 하락했다. 이념성향별로 중도층(6.9%P↑, 50.6%→57.5%)에서 상승했고, 진보층(7.9%P↓, 87.5%→79.6%), 보수층(4.5%P↓, 20.9%→16.4%)에서는 하락했다. 직업별로 농림어업(5.6%P↑, 41.6%→47.2%), 판매/생산/노무/서비스직(2.4%P↑, 44.8%→47.2%), 무직/은퇴/기타(1.9%P↑, 40.1%→42.0%), 가정주부(1.3%P↑, 39.9%→41.2%)에서 상승했고, 학생(8.2%P↓, 46.5%→38.3%), 사무/기술/관리직(1.6%P↓, 60.6%→59.0%)에서는 하락했다.
또 정당지지도는 국민의힘과 민주당 동반 하락하며, 양당 간 격차는 3.7%p에서 2.0%p로 좁혀지며 2주 째 오차범위 내 접전양상을 보였다. 2월 1주 차 정당 지지도 집계 결과, 국민의힘이 지난 1월 4주차 주간 집계 대비 2.6%P 낮아진 42.8%로 나타났다. 반면 민주당은 0.9%P 낮아진 40.8%를 기록했다.
다음으로, 조국혁신당은 1.1%P 낮아진 3.4%, 개혁신당은 1.4%P 높아진 2.4%, 진보당은 0.0%P 변동없는 1.0%, 기타 정당은 0.4%P 높아진 1.5%를 기록하였다. 무당층은 2.7%P 높아진 8.1%로 조사됐다.
국민의힘 응답자 특성별 변화는 대전·세종·충청(14.6%P↓, 57.3%→42.7%), 부산·울산·경남(4.9%P↓, 55.1%→50.2%), 서울(3.7%P↓, 45.3%→41.6%)에서 하락했고, 인천·경기(1.5%P↑, 40.0%→41.5%)에서는 상승했다. 성별로 여성(2.8%P↓, 43.8%→41.0%), 남성(2.4%P↓, 46.9%→44.5%)에서 하락했다. 연령대별로 60대(10.6%P↓, 58.7%→48.1%), 40대(7.3%P↓, 33.5%→26.2%), 50대(4.0%P↓, 39.6%→35.6%)에서 하락했고, 30대(4.8%P↑, 37.2%→42.0%), 70대 이상(2.6%P↑, 57.4%→60.0%), 20대(1.5%P↑, 47.3%→48.8%)에서는 상승했다. 이념성향별로 중도층(7.7%P↓, 42.3%→34.6%)에서 하락했고, 보수층(4.3%P↑, 74.6%→78.9%), 진보층(2.2%P↑, 9.7%→11.9%)에서는 상승했다. 또한 범보수 차기 대선 후보 적합도에서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25.1%로 오차범위 밖 선두를 기록했다.
이어 유승민 전 의원 11.1%, 오세훈 서울시장 10.3%, 홍준표 대구시장 7.5%,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7.4%, 안철수 의원 5.1%, 이준석 의원 4.0% 순으로 집계됐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김문수 45.2%, 오세훈 17.3%, 홍준표 13.1%, 무당층에서는 김문수 17.2%, 유승민 10.3%, 오세훈 10.2%, 보수층에서는 김문수 45.0%, 오세훈 14.3%, 홍준표 12.3%, 중도층에서는 김문수 19.9%, 유승민 14.6%, 오세훈 9.9% 순으로 모두 김문수 장관이 가장 많은 지지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주간 조사는 2월 6일(목)과 7일(금) 이틀 동안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1,897명에게 통화를 시도해 최종 1,002명이 응답을 완료, 8.4%의 응답률을 나타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이다. 무선(97%)·유선(3%) 자동응답 방식,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했고, 통계보정은 2024년 10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별, 연령대별, 권역별 림가중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김상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