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스리랑카에서 자원봉사 활동을 하고 돌아온 후 8명이 뎅기열 환자로 의심되어, 대구시에서 역학조사를 실시한 결과 뎅기열로 확진 판명되었다.
대구 ○○대학교는 작년 12월 23일부터 올해 1월 4일까지 해외봉사 활동을 위해 스리랑카를 방문한 자원봉사단 35명 중 8명이 뎅기열 의심 증상으로 지역 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고 있다고 1월 4일 대구시에 신고했다.
대구시는 질병관리본부와 함께 뎅기열 의심환자에 대한 역학조사와 검사를 실시했으며, 이중 6명이 확진환자로 판명됐다.
또한, 함께 자원봉사를 다녀온 증상이 없는 나머지 인원에 대해서도 추가 조사를 실시하여 추가 환자 발생여부를 모니터링 중이다.
뎅기열은 뎅기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가 사람을 무는 과정에서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사람 간 전파는 없다. 주 발생지역은 열대, 아열대의 거의 전역에서 나타나고, 동남아시아, 중앙?남아메리카에서 환자 보고가 많으며, 고도 1,000m 이상의 지역은 위험성이 낮은 편이다.
감염 시 증상으로는 고열이 3~5일간 지속되며, 심한 두통, 근육통, 관절통, 식욕부진 등을 동반한다. 감염초기에 때로 붉은 반점이 생기고 출혈이 발생할 수도 있다.
대구시 백윤자 보건건강과장은 “뎅기열은 예방접종 백신이 없기 때문에 유행지역 여행 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최상의 예방법이며, 실외에서는 곤충기피제를 사용하고, 긴팔, 긴바지를 착용할 것”을 권장했다.김두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