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주거형태는 공동주택이다. 아파트라는 공간에서 생활이 편하기 때문이다. 지은 지가 오래되었다면, 노후화로 만약에 사고라도 터진다면, 인명이나 재산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가 있다. 일상생활의 편의가 되레 위험할 수가 있다. 이 같은 위험을 늘 안고 산다면, 날마다 불안할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위험한 대표적인 사례를 든다면, 어린이 놀이터, 경로당, 하수도 준설 및 보수, 재난위험 시설물의 정밀안전진단 등이다. 포항시가 오는 29일까지 공동주택 지원 사업 신청 접수를 받는다. 사업대상은 20세대 이상 공동주택의 하자보수기간이 경과하거나, 1월 29일 기준으로 준공 후 15년이 지난 주민공동 이용시설물로써 임대주택은 제외된다.
사업내용으로는 단지 내 도로, 하수도 등 시설물, 어린이 놀이터, 재난안전시설 보수, CCTV 설치, 장애우 편의시설의 설치 등이다. 신청 시 구비서류로는 공동주택관리비용 지원신청서, 입주자대표회의 의결을 증명하는 서류, 사업계획서, 장기수선계획서, 설계서 또는 공고일 이후 견적서, 심의위원이 사업계획을 잘 알 수 있는 동일한 현장사진 12장 등이 필요하다. 사업대상자는 공동주택 지원심의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선정된다. 최종 선정되면, 단지 당 총사업비의 60% 이하로 5천만 원 이하가 지원된다. 한번 지원받은 단지는 10년간 지원받을 수 없다. 포항시 공동주택관리 지원 조례에 근거해 2008년부터 시작된 공동주택 지원 사업은 그동안 134개 단지에 대해 52.6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됐다. 올해는 30여개 단지에 6억 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문제는 준공 후에 15년이 안된 공동주택도 위험한 곳이 있을 수가 있다. 지원내용도 국한되었으나, 보다 확대한 필요성이 있다. 시민안전은 행정의 최대 목표이다. 이 대목에서 포항시의 행정은 찾아가는 행정을 펼쳐야 한다. 예산이 걸림돌이 될 수가 있다는 것을 우리가 인정한다고 해도, 마찬가지이다. 공동주택 안전진단 전문가를 동원하여, 포항시 공동주택 안전 전수조사가 반드시 있어야만 한다. 포항시민의 행복추구는 최우선이 주거이다. 주거 빈곤 지역도 있다고 여긴다. 도시미관 다듬기는 민선 6기 시정 목표이다. 포항시는 위 같은 것을 현실에서 반드시 구현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