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은 바다도시로써 바다와 관련하여, 당대뿐만이 아니라, 미래까지 바다를 활용하여 자본을 창출해야한다. 자본의 창출에서 ‘수중건설로봇 복합 실증센터’가 앞으로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수중건설로봇은 수중용접과 같은 유지관리 작업 등을 위한 경작업용 유영식 ROV(Remotely Operated Vehicle)과 해저 케이블의 매설이나 수중 중량 구조물 설치 등을 건설한다. 비교적 단단한 지반 조건에서 파이프라인 매설 등이 가능한 중작업용 트랙기반 로봇이다. 위와 같은 수중건설로봇 성능검증 지원으로 실용화 기반의 구축이다. 이 같은 해양개발 및 첨단 해양산업의 미래를 이끌 ‘수중건설로봇 복합 실증센터’가 포항에 건설된다. 지난 2일 영일만 3일반산업단지에서 ‘수중건설로봇 복합 실증센터’ 착공식을 개최했다.
‘수중건설로봇 복합 실증센터’는 해양수산부가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총사업비 813억 원을 투자하여, 추진 중인「해양개발용 수중건설로봇 개발」사업의 일환이다. 복합 실증센터의 길이는 35m이다. 너비 20m, 수심 9.6m의 3차원 수조와 길이 20m, 폭 5m, 수심 6.2m의 회류 수조가 구축된다. 더하여 수중 환경 재현을 위한 최대 유속 3knots의 조류발생장치와 대형 수중건설로봇(장비) 투입·회수를 위한 30ton 호이스트, 작업대차, 수중 구조물 등을 설치한다. 이는 지상에서 바다를 재현하는 것과 같다.
현재 수중건설로봇 기술은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해양 플랜트와 해양 에너지, 이산화탄소 해양 포집 및 저장 장치, 해상 풍력 등 해양 구조물 건설에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선진국은 이미 다양한 수중건설로봇을 현장에 투입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관련 기술이나 장비를 해외에서 수입하거나 임대하여, 사용하고 있다.
포항시에서 수중건설로봇 기술개발로 2021년까지 수중건설장비 기술수준을 선진국 대비 90%를 확보한다. 현재는 100% 해외에서 임대하여 사용 중이다. 이를 50%이상 자립화하여, 5년간 해외 임대비용 2,000여억 원이 절감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본다. 포항시에 ‘수중건설로봇 복합 실증센터’가 영일만 3일반산업단지에 들어선다면, 포항시는 이 분야에서 선진지가 된다. 이제 착공식을 가졌다니, 앞으로 포항시가 바다자본에서 미래자본까지 창출해야한다. 또한 새로운 일자리도 창출될게다. 준공까지 포항시는 차질 없이 추진하여, 미래 바다자본의 창출에 성공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