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자치부 17일 관련 기록물 공개
스포츠 강국 반열에 오르는 기반돼
'88 서울올림픽'의 감동적인 순간을 담은 기록물이 오는 17일 공개된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제24회 서울올림픽 대회 개막일(88.9.17.)을 맞아 관련 기록물을 홈페이지(
www.archives.go.kr)에 게시한다고 13일 밝혔다.
관련 기록물은 1950~1980년대 역대 하계올림픽 출전 모습과 서울올림픽 유치에서부터 대회 개최에 이르는 전 과정이 담긴 총 34건(사진 18건·동영상 11건·정부 간행물 3건·문서 2건)이다.
기록물에 따르면 대한민국 국호를 달고 첫 출전한 올림픽은 정부 수립이 선포되기 한 달 전인 1948년 7월에 열린 '제14회 런던 대회'였다. 당시 7개 종목에 67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1952년 6.25 전쟁 중 개최된 '제15회 헬싱키 대회'의 출전 경비를 마련하려고 대대적인 모금 운동도 벌였다.
올림픽 사상 처음으로 금메달을 딴 1976년 '제21회 몬트리올 대회'와 종합 10위권에 첫 진입했던 1984년 '제23회 LA 대회'에서 스포츠 강국으로서의 면모가 드러났다.
서울올림픽 유치는 한편의 극적인 드라마였다.
1981년 9월 서독 바덴바덴에서 열린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에서 서울이 일본의 나고야를 52대 27로 제치고 제24회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됐다.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16번째, 아시아에서는 2번째로 올림픽 개최국이 된 것이다.
당시 나고야가 우세할 것이란 전망이 많았던 터라 사마란치(Juan Antonio Samaranch) 국제올림픽위원장의 발표에 온 국민은 환호했다.
우리나라는 올림픽주경기장 건설과 한강 개발 등 올림픽 준비에 박차를 가했고, 무엇보다 한국 체육계는 서울올림픽에서 좋은 성적을 내야 한다는 큰 숙제를 떠안았다. 이때 집중 육성을 받은 '88 꿈나무' 세대는 우리나라가 세계 스포츠 강국의 반열에 오르는 기반이 됐다.
1988년 9월17일부터 10월 2일까지 16일간 치러진 서울올림픽대회에는 160개국 1만3600여 명의 선수단이 참가했다. 올림픽 사상 최대 규모였다. 경기력에서도 우리나라는 금 12개·은 10개·동 11개의 메달을 따내 종합 4위라는 최고 성적을 거뒀다.
서울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는 우리나라가 선진국 대열에 합류할 수 있다는 가능성과 자신감을 확인하는 계기가 돼 정치·외교·사회·문화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많은 변화를 맞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