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지자체든 안전을 추구하고는 있다. 예고가 없는 재난에 대비함이다. 시민들의 일상생활에서는 무엇보다 안전이 최고의 가치이다. 지자체마다 재난대피시설을 구비하고 있다. 있다고는 할망정 관리가 제대로 되지 못한다면, 위급할 때는 아무른 쓸모가 없다. 대구시의회 최광교 의원은 지난 9일 행정사무감사를 대비해 대구 전역의 대피시설과 비상급수시설을 선별해 긴급 점검의 결과가 위와 같았다. 일부지역의 경우 대피시설과 비상급수시설이 전혀 없었다. 이미 없어진 시설마저 대피시설로 지정했다. 대부분의 대피시설에 유도와 안내 표지판이 없었다. 지정된 지 오래돼 시설이 낡았다.
대피계단이 좁고 급경사이었다. 장애우나 노약자는 이용이 어려운 시설이 많았다. 대피시설 상당수는 시설사용자의 휴업으로 닫히거나, 시설 상호명도 다르게 기재되어 있었다. 10년 전에 폐업한 대피소의 이름이 버젓이 기재되어 있었다. 더욱 심각한 것은 10년 넘게 대피소 인근에 거주한 주민조차 대피시설이 어디에 있는지 몰랐다. 자치단체의 대주민홍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유사시 대피시설의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의문스러울 지경이었다.
비상급수시설 관리에도 문제점이 많이 노출됐다. 중구는 지난해 검사이후 검사성적을 업데이트하지 않았다. 수성구는 음용수와 생활용수를 구분하지 않았다. 서구는 아예 시험설적을 공개하지 않았다. 최광교 의원은 제대로 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설을 개선해야한다. 장애우, 노약자 등이 편리하게 대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줘야한다고 지적했다. 무엇보다 시민 누구나 생활주변에서, 어디에 대피시설이나 비상급수 시설이 있는지 제대로 알고 사용할 수 있도록 대구시가 보다 적극적인 시민홍보와 엄격하고 철저한 시설관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대구시의 재난대피시설이 이 모양이라면, 포항시는 현재 어떤가를 의심한다. 민선6기 포항 비전은 시민행복이다. 시민들이 행복하려면, 안전이 뒷받침되어야만 한다. 안전이 실종상태라면, 시민행복도 실종한다. 포항시는 대구시의 재난대피시설의 부실을 교훈으로 삼아야만 한다. 이제부터 포항시는 재난대피시설이 제대로 작동하는가에 전수조사를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