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전자담배 등 신종담배 규제 강화해야"..
사회

"전자담배 등 신종담배 규제 강화해야"

운영자 기자 입력 2015/11/11 19:47 수정 2015.11.11 19:47
복지부, 국가금연지원서비스 10년성과 논의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국가금연지원센터는 11~12일 서울 포스트타워(10층)에서 'WHO 담배규제기본협약 비준 10년, 국가금연지원서비스 10년'의 의의와 성과를 논의하는 '담배규제 정책포럼'을 연다.
WHO 담배규제기본협약은 세계 180개국이 담배 수요 및 공급규제를 통해 담배로부터 질병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체결된 보건 분야 최초의 국제협약이다.
제출한 발표문을 보면 정책포럼에 참가한 연자들은 국제 담배규제와 비교해 한국의 10년간 금연정책 추진성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지난해 10월 FCTC 제6차 당사국 총회 의장을 맡은 문창진 차의과대학 부총장은 2005년 협약 비준 이후 우리의 담배규제 정책이 비약적으로 발전했음을 강조했다.
베라 루이자 다 코스타 에 실바 WHO FCTC 사무국장은 한국이 협약 이행에 점진적인 성과를 이루어내고 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특히 담배규제기본협약 제14조와 영국 금연서비스 가이드라인을 개발한 마틴 로 국제금연연구센터장은 우리나라 금연지원서비스를 금연상담, 행동변화요법, 약물처방 3가지를 모두 갖춘 '최고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국내외 보건 전문가들은 담배규제 정책의 발전과 흡연율 저하를 위한 주요 정책 과제로 담배 업계의 정책 방해활동과 신종 담배 등 담배제품 변화에 따른 정책적 대응을 거론했다.
웬디 서던 호주 보건부 차관보는 영상 발표를 통해 모든 담배 브랜드의 담뱃갑 경고그림·문구뿐만 아니라 색상(짙은 올리브색)까지 통일시킨 담뱃갑 규격화 포장 도입 시, 담배업계의 방해 전략을 소개하면서 업계의 저해 활동에 정부가 강력히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성규 박사(한국보건의료연구원)는 담뱃값 인상 및 금연정책 강화로 각련, 전자담배 등 신종담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과 이용 실태 등을 설명했다.
이 박사는 "전자담배 등 신종 담배로 청소년과 비흡연자가 빠져드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담배제품의 가향 첨가 금지 등 신종담배의 '향과 맛'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향후 10년의 담배규제 정책 방향으로는 담배 없는 세대와 담배종반전과 같은 최신 금연 전략을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신규흡연자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담배없는세대'에 관련해 알란 조나단 베릭 싱가포르-예일대 교수는 최근 호주 태즈메이니아 주에서 채택된 담배없는 세대법을 소개했다.
베릭 교수는 "현행의 미성년자 담배사용 금지조치(판매연령제한 등)가 가진 정책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21세기 이후 출생한 세대에 대한 담배판매 전면 금지와 같은 혁신적이고 강력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번 포럼에서 논의된 주요 사항을 바탕으로 연말 담배규제 및 금연지원정책 방향에 대하여 발표할 예정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올해 담뱃값 인상 및 경고그림 도입 등의 가격·비가격 규제를 통한 흡연율 저하 효과를 지속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금연지원 서비스 확대와 함께 담배 규제 정책 및 집행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